활동/언론에 나온 우리287 [UBC울산방송] (대담) 김두겸 시장에게 듣는다 - 2022.10.08 (앵커) 다음으로 김두겸 시장을 모시고 이번 외솔한글한마당의 의미와 한글도시를 꿈꾸는 울산시의 포부에 대해 말씀 나눠 보겠습니다. (질문1) 외솔 한글한마당이 올해로 11회째를 맞습니다. 올해는 국제문자 디자인 초대전을 중심으로 한글의 세계화에 초점 을 두고 있습니다. 올해 축제의 의미는? (답변) 외솔 최현배 선생께서 ‘우리 민족 최대의 문화 유산이자 전 세계 인류의 글자 중 으뜸이 한글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러한 외솔 선생의 정신을 본받아 올해 ‘외솔 한글한마당’은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데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중략) (질문2) 외솔 한글한마당이 전국의 한글축제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큽니다. 외솔 최현배 선생과 한글도시 울산을 알리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는데요. 한글 축제 외에 ‘.. 2022. 10. 14. [디지털데일리] "얼굴 천재·땡깡 표현이 어때서?"... 말로 하는 차별 그만 인터넷과 실생활에서 무심코 사용되지만 알고 보면 차별적이거나 비하의 여지가 있는 용어가 적지 않다. 최근 이 같은 언어 문화를 자정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실제로 인터넷 환경에서 비대면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신조어에는 기존 사회의 편견이 반영된 경우는 적지않다. 우리가 부지불식간에 사용하는 '결정 장애', '얼굴 천재'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전자는 장애를 비하하는 뉘앙스가 담겼으며, 후자는 외모 지상주의를 부추긴다는 지적이다. (중략) 또 한글문화연대와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에서는 외래어를 우리말로 바꾼 ‘쉬운 우리말 사전’, 공익과 관련해 누구나 알아들을 수 있는 ‘공공언어’ 등을 모아 안내해오고 있다. 한편, 통신기업인 SK텔레콤은 최근 언어 사전 .. 2022. 10. 14. [EBS뉴스]<뉴스브릿지> 외국어·신조어 범람 ··· 우리말·우리글 사용 실태는? - 2022.10.07 [EBS 뉴스] 용경빈 아나운서 세상을 연결하는 뉴스, 뉴스브릿지입니다. 모레가 576돌 한글날입니다. 한글 창제를 기념하고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날이죠. 한글날을 맞아 요즘 우리 말 우리 글에 대해 얘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 자리했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먼저 오늘 대표님이 오셨으니까 현재에 대해서 시점에 대한 얘기를 질문을 드려보겠습니다. 우리 사회의 언어 사용 실태 총평 한번 부탁드려볼까요? 이건범 대표 / 한글문화연대 총평으로 보자면 한국어와 한글에 대한 우리 국민의 자긍심은 한껏 높아진 것 같아요. 그러니까 한류문화, 영화, 드라마, 가요, 이것이 세계인의 사랑을 받다 보니까 우리말에 대한 관심이 그만큼 세계적으로 높아졌고 그래서 자긍심은 높아졌는데 안을 들여.. 2022. 10. 14. [매일신문] '미숫가루=MSGR' ···생활 속 물든 외국어에 쩔쩔매는 사람들 선물도 영어를 알아야 가능한 일인가 봐요" 가정주부 20대 사공소정 씨는 지난 2월 아이의 장난감을 사려 한 대형마트를 방문했다가 당혹감을 감출 수 없었다. 간판이 죄다 영어로 되어 있는 데다 문구류를 뜻하는 'Stationery', 유제품을 의미하는 'Dairy' 등 생소한 단어가 눈앞에 펼쳐졌기 때문이다. 사공 씨는 "요즘 아이를 데리고 어디를 가도 영어 때문에 힘들다. 다시 영어 공부해야 할 판"이라고 했다. 메뉴판 외국어 표기로 인해 논란이 된 사례도 있었다. 최근 서울의 한 유명 카페 메뉴판에서 미숫가루를 'MSGR'로 표기하면서 온라인상 갑론을박이 오갔다. 신선하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메뉴를 알아볼 수 없어 못 시키겠다"는 지적이 대다수였다. (중략) 규제가 쉽지 않은 탓에 옥외광고물법 시행.. 2022. 10. 14. [퀸][오늘의 농정]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오는 12일 창덕궁 청의정에서 문화재청(청장 최응천)과 공동으로 벼 베기 행사를 연다. 이번 행사는 조선시대 임금이 그해 농사의 풍흉을 가늠하고 백성들에게 본보기를 보이기 위해 궁궐 안에 논을 만들고 직접 농사를 지어 가을걷이했던 친예례(親刈禮) 의식을 되살린 것이다. 12일 창덕궁 후원에 입장(오전 10시 30분)하는 관람객은 행사를 관람할 수 있고 떡메치기, 벼훑이기 체험 등 부대 행사에도 참여할 수 있다. (중략) [어려운 농업용어, 쉬운 우리말로 바꿔 사용한다] -농촌진흥청, 한글문화연대와 협력해 단계적 순화 작업 추진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제576돌 한글날 (10월 9일)을 맞아 어려운 한자어와 외국어, 일본식 한자어로 된 농업용어를 알기 쉬운 우리말로 바꿔 사용.. 2022. 10. 14. [문화일보]LH, 공공주택 용어 우리말 순화 작업 추진 - 2022.10.07 공공주택 실내외에서 사용하는 외국어 용어와 명칭 우리말로 변경 노력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한글날(9일)을 맞아 ‘우리 집 이곳저곳 우리말로 바꿔주세요.’ 공모전 결과를 발표하고 공공주택 용어 우리말 순화 작업에 나섰다. LH는 7일 제576돌 한글날을 맞아 공공주택에서 자주 사용되는 외국어를 우리말로 바꾸기 위한 공모전을 시행, 6일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공모는 △난간 △팬트리 △알파룸 △키즈 스테이션 △게스트하우스 총 5개 단어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977명이 공모전에 참여했다. (중략) 한편 LH는 지난 8월부터 (사)한글문화연대와 ‘공공주택에서 사용되는 외국어 우리말 순화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이 용역은 주택 건축 도면, 안내 책자 등에 나오는 외국어 사용 현황을 조사하고 외국어를 우.. 2022. 10. 14. [이데일리] 메뉴판·간판·아파트까지 외국어 천지...노년층 '新문맹' 우려 - 2022.10.07 “솔드아웃? 뭔 말인지 알아야 누르든가 말든가 하지. 답답하네.” 개천절 연휴 가족들과 카페를 찾은 황모(70·남)씨는 키오스크(무인 주문기)를 눌러대는 자녀 뒤에 엉거주춤 서 있을 수밖에 없었다. 기계를 다루는 데에도 서툴지만 ‘솔드아웃’, ‘베버리지’, ‘더블샷’과 같은 외국어를 이해하지 못해 선뜻 나서지 못했다고 했다. 황씨는 “까막눈이라 도통 이해되지 않는 말들이 생활 속에서 넘쳐난다”며 “자식 없으면 음료수도 주문 못할 처지가 됐다”고 씁쓸히 웃었다. (중략) 옥외광고물법 시행령상 간판 등 옥외 광고물의 문자는 원칙적으로 한글로 표시해야 하지만 지켜지지 않고 있다. 외국 문자로 표시할 때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한글을 적고 그 옆에 외국어를 같이 써야 하지만 이런 간판은 드물다. 한글문화연대가.. 2022. 10. 14. [연합뉴스] 한글문화연대 '우리말 사랑꾼'에 울산·중소벤처기업부 등 선정 - 2022.10.06 한글문화연대는 우리말을 올바르고 쉽게 사용한 올해 '우리말 사랑꾼'으로 울산광역시, 중소벤처기업부 등 기관 2곳과 박은주 국토교통부 사무관, 홍성진 산업통상자원부 주무관 등 2명을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 울산시는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보도자료에 외국어 용어 대신 우리말을, 또 외국 글자 대신 한글을 사용하려 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중소벤처기업부는 그간 외국어 용어 사용이 잦았으나 올해 들어 크게 바꾼 점을 인정받았다. (후략)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21006179800005?input=1179m 본 보도자료는 연합뉴스(2022.10.06)에 작성되었습니다. 한글문화연대 '우리말 사랑꾼'에 울산·중소벤처기업부 등 선정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 2022. 10. 14. [동아사이언스] [의과학용어의 조건] ② "노년층은 외래어에, 청년층은 한자어에 취약" - 2022.10.06 "며칠 전 문 닫은 음식점 앞에서 노인 몇 분이 '공지도 없이 영업을 안 한다'며 불같이 화를 내고 있는 장면을 봤어요. 문 앞에는 버젓이 'CLOSED'라고 적혀있었습니다. 만약 '휴업중'이라고 적혀있었다면 이런 일이 생겼을까요?" 이광근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지난달 서울 중구 모처에서 진행된 국어문화원연합회와 동아사이언스가 추진하는 '쉬운 우리말 쓰기' 자문위원 좌담회에서 노년층이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가 많다며 얼마 전 겪었던 경험담을 털어놨다. (중략) 특히 노년층은 외국어 유래 용어에 취약하다. 세대간 이해도 격차가 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글문화연대가 2020년 외국어 유래 용어 3500개에 대해 일반 국민이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일반 국민의 이해도를 100점 만점.. 2022. 10. 14.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