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우리말가꿈이푸른(전 우리말사랑동아리)72

[마침] 우리말가꿈이 푸른 5기 마침마당(24.11.02) 우리말가꿈이 푸른 5기가 이번 24년 11월 2일에 수료를 하였습니다. 서울 인근 지역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선정한 이번 푸른 5기는 전체 학생 수는 112명, 총 8개 학교, 9개의 동아리로 구성돼있습니다.  학교이름동아리명1대원고등학교늘푸른2배재고등학교언론반3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인공지능 작가반4염광고등학교바로세움5우신고등학교교지편집반6우신고등학교빛글7원묵고등학교원묵방송부8한양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한대부고 방송반9한천중학교한천 헤윰 푸른 5기는24년 5월 15일 오름마당을 시작으로 활동을 시작해 약 6개월간 교내 그리고 교외를 가리지 않고 활동을 펼쳤는데요. 단순히 동아리 내에서 우리말글을 공부하고 토론하는 데 그치지 않고교내 등굣길 우리말 알림 활동, 우리말 관련 손수저작물 대회, 교내 합창 .. 2024. 11. 7.
[푸른 5기] '당신은 한글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있습니까?' - 한대부고 방송반 https://cafe.naver.com/urimalsarangmo/1479 ‘당신은 한글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있습니까?’ 공익광고 영상 cafe.naver.com 우리말 가꿈이 푸른 5기 한대부고 '방송반'에서 제작한 우리말 공익 광고입니다!학생들의 열정 가득한 모습이 보이네요. 2024. 10. 31.
[푸른 5기] <우리말,어디까지 알고있니?> - 한대부고 방송반 우리말가꿈이 푸른 5기, 한양대학교부속고등학교에서  한글 맞춤법 인지도 조사를 시행하여 생활 속에서 자주 혼동하는 어휘와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을 발표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주소에서 확인해주세요 ^^https://www.instagram.com/p/C9mTV9mygQi/?utm_source=ig_web_copy_link 2024. 7. 30.
[푸른5기] 토박이말 소개 네모소식 - 우신고등학교 빛글 우리말가꿈이 푸른 5기, 우신고등학교 빛글 동아리에서 토박이말을 이용한 이쁜 네모소식을 제작하였습니다.그림과 더불어 적혀있는 토박이말이 참 아름답게 느껴지네요 :>  여우비: [명사] 볕이 나 있는 날 잠깐 오다가 그치는 비  가람: [명사] '강', '호수'의 옛말   가납사니:  [명사] 쓸데없는 말을 지껄이기 좋아하는 수다스러운 사람 2024. 6. 13.
[마침] 우리말가꿈이 푸른 5기 오름마당 행사 우리말가꿈이 푸른 5기 오름마당(발대식) 행사를5월 4일 토요일에 진행했습니다 :>9개의 중고등학교에서 10개의 동아리가 모인 푸른 5기 발대식은 어느 때보다 활기찼습니다. 푸른 5기생들의 우리말 지식을 풍부하게 만들 강연푸른에 대해 자세히 알려줄 활동 소개 시간동아리별 자기소개 시간세종대 실용무용학과 학생분들의 축하공연(마지막에는 햄버거까지!)푸른 5기생들은 근 1년간 우리말을 가꾸는 다양한 활동들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한글문화연대에서 이를 지원하려고 합니다. (한글날에는 학생들이 직접 만든 신문까지 시민들에게 직접 나눠줍니다!)앞으로 푸른 5기생들의 활동을 기대해 주세요! 2024. 5. 8.
[알림] 우리말가꿈이 푸른 5기 모집 (~4월 17일까지)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는 국민의 국어능력 향상을 목표로, 청소년의 진로 중 언어 능력을 갖춰야 할 언론홍보, 방송, 창작, 광고, 복지, 어문 분야의 동아리 활동을 지원합니다. 선정된 동아리는 ‘우리말가꿈이 푸른’이라는 연합동아리 이름도 겸하게 되며, 활동 지원과 교사 지도비 지원 등 여러 가지 특전을 받습니다. 아래 내용을 참조하여 4월 17일까지 신청해 주십시오. (1) 모집 대상: 서울 시내 중고교 정규 동아리(소속 학생 7명 이상 권장) (2) 모집 기간: 2024년 4월 3일(수) ~ 4월 17일(수) (3) 모집 동아리 수: 10곳 (4) 활동 기간: 2024년 5월~10월 (5) 지원 금액: 동아리 1곳에 30만 원(지도비, 활동재료비 포함) (6) 선정 발표: 4월 17일 이후 합격자에게 개.. 2024. 2. 5.
[우리말가꿈이 푸른 연합동아리 활동 수기 3편] 김민지 학생의 이야기 우리말가꿈이 푸른 연합동아리를 하며 신월중학교 3학년 김민지 우리말가꿈이 푸른 연합동아리에 신청하게 된 계기는 국립한글박물관 때문이었다. 모집 안내 글에는 국립한글박물관에서 3회 차 활동을 한다고 적혀 있었다. 보자마자 든 생각은 ‘일단 신청해 보자’였다. 되든 안 되든 신청하면 즐겁고, 재미있을 것 같았다. 신청을 한 날에는 국립한글박물관에 갈 수 있다는 것에 기분이 좋아서 설레는 하루를 보냈다. 그리고 여러 수행평가 때문에 푸른 연합동아리에 신청했다는 것을 잊었을 때쯤에 한글문화연대에서 연락이 왔다. 처음에는 모르는 번호로 연락이 와서 무시했는데 계속 연락이 와서 마지못해 받자, 내가 동아리에 신청했다고 했는데, ‘내가 뭘 신청했었지?’ 싶었다. 그리고 엄마한테 물어보니까 내가 국립한글박물관 가는 것.. 2023. 11. 7.
[우리말가꿈이 푸른 연합동아리 활동 수기 2편] 박서현 학생의 이야기  소감문 문일여자고등학교 3학년 박서현 사실 처음에 한글문화연대 한글 동아리라는 걸 대외활동 누리집에서 봤을 땐 사실 호기심으로 지원했다. 고3이었고 수능을 앞둔 입시생이 이런 대외활동을 선택했다는 게 누군가한텐 의아할 수도 있겠지만 하고 싶은 건 무조건 해야 하는 못 말리는 나의 고집 덕에 시작한 활동이었다. 그렇게 간 첫 번째 활동에서 들었던 강연은 한글문화연대 이건범 대표님의 강연이였다. 그 강연에서 ‘말이 쉬워지면 모두가 편해진다’라는 이야기가 기억에 남았다. 약자에게 다가가면 다가갈수록 말은 쉬워져야만 한다는 이야기였다. (나의 진로는 언어 전문 분야가 아니다. 국어국문이나 신문방송 같은 계열이 아니란 이야기다. 그런데도 난 이 활동을 선택했었다.)이 강연을 듣고 나는 내가 제대로 된 선택을 했음.. 2023. 11. 2.
[우리말가꿈이 푸른 연합동아리 활동 수기 1편] 심효린 학생의 이야기 소감문 고덕중학교 1학년 심효린 처음에 우리말가꿈이 푸른 연합 동아리 홍보 내용을 보았을 때 ‘우리말과 한글에 대해서 과연 내가 잘 알고 있을까? 잘 모르면서 동아리 활동을 한다고 지원하는 것은 아닐까?’ 하며 오래 생각했습니다. 무심코 사용하고 있는 우리의 말과 글, 한국어와 한글에 대해서 그동안 내가 잘 알면서 사용을 해왔는지 바른 언어 습관을 지켰었는지 등을 돌아봤습니다. 평소에 친구들과 대화할 때 친구들이 사용한다고 나도 아무 생각 없이 비속어를 사용하거나 다른 사람이 듣기에 거북한 말을 사용하기도 했었다는 사실이 너무 부끄럽고 개념이 없었다고 느꼈습니다. 이번 동아리 활동을 통해 우리말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보고 한글에 대해 홍보할소중한 기회가 될 것 같아 동아리 활동에 지원했습니다. 매주 토요.. 2023.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