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문화연대1472

동문, 동창, 동기 [아, 그 말이 그렇구나-166] 성기지 운영위원 ‘동문’과 ‘동창’은 구별해서 쓰기가 까다로운 말이다. 본디 ‘동문’이란 말은 ‘동문생’의 준말인데, ‘같은 스승에게서 배운 제자들’을 뜻한다. 옛날에는 교육기관이 서당이나 서원 형태로서 한 스승 밑에 여러 문하생들이 공부를 하였기 때문에, ‘함께 공부한 문하생’이라는 뜻으로 ‘동문생’이라 일컬었던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교육기관인 학교에는 여러 선생님들이 계시기 때문에, 더 이상 한 스승 밑에서만 공부하는 일은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그래서 ‘같은 학교를 졸업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동창생’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곧 ‘동창생’이라 하면, 졸업한 때에 관계없이, 같은 학교를 졸업한 사람들을 모두 일컫는 말이다. ‘동문생’을 줄여서 ‘동문’이라고 하는 것처.. 2016. 12. 28.
♬ 무엇이 무엇이 맞을까요?♩♪ - 김수지 기자 ♬ 무엇이 무엇이 맞을까요?♩♪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김수지 suji950@naver.com “그 사람 역대급으로 어리버리해! 엉뚱한 사람이 덤테기 쓸 뻔했다니까.” 누구나 일상생활을 하며 한 번쯤 써보았을 말이다. 이 말을 사용하는 사람 중 ‘역대급’, ‘어리버리’, ‘덤테기’ 가 모두 표준어에 맞지 않게 잘못 발음되고, 표기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이번 기사에서는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지만, 한국인들이 잘못 알고 있는 우리말 표현을 소개하고자 한다. 1. 역대급 ⟶ 역대 최고의 최근 들어 방송에서도, 일상생활에서도 많이 쓰이는 ‘역대급’이란 말은 잘못된 표현이다. ‘-급級’은 ‘그에 준하다’라는 뜻을 가진 접미사이다. 그러므로 ‘역대’라는 말과 같이 쓰기에는 무리가 .. 2016. 12. 28.
일상 속 잘못된 말, 올바르게 사용하자 - 장지호 기자 일상 속 잘못된 말, 올바르게 사용하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장지호 기자 jang_0617@naver.com ‘분리수거’와 ‘분리배출’ 상황에 맞게 올바르게 쓰자 ‘분리수거’, ‘분리배출’은 언뜻 보기에 같은 단어로 보이지만, 두 단어의 의미는 다르다. 위 사진처럼 우리는 ‘분리수거 하는 날’, ‘분리수거 하세요.’ 등 아파트 단지 내 안내문에 쓰여 있는 문구를 볼 수 있다. 과연 올바르게 쓴 표현일까? 두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자. ‘분리수거’는 ‘쓰레기 따위를 종류별로 나누어서 늘어놓은 것을 거두어감’을 뜻한다. ‘분리배출’은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종이팩, 유리병, 합성수지류 포장재 등의 자원을 구분하는 행동’을 뜻한다. 즉 의미로 볼 때 분리수거는 ‘관’ 또는 ‘수거 업체’에서 사용.. 2016. 12. 27.
[경향신문 기고] 초등교과서 한자 표기, 헌재 결정 거슬러/이건범 대표 초등교과서 한자 표기, 헌재 결정 거슬러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 이 글은 2016년 12월 26일, 경향신문에 실렸습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12262105005&code=990402 한자혼용을 원하는 분들이 공문서 한글전용을 규정한 ‘국어기본법’과 중·고교 한문 교육을 선택 과목으로 돌린 ‘교육과정’이 위헌이라며 청구한 심판 사건에 헌법재판소가 모두 기각 결정을 내렸다. 지난 11월24일의 일이다. 이로써 한글을 나라글자로 밝힌 고종 칙령 이래 120여년의 과도기를 거쳐 한자 시대에서 한글 시대로 완벽하게 옮아왔음을 천명했다. 그러나 시빗거리는 남아 있다. 교육부가 2014년 9월부터 추진하려다 미루고 있는 .. 2016. 12. 27.
[한국어학교] 월요일 목요일 한국어학교는 수업 중~ 한글문화연대가 운영하는 한국어학교(문화체육관광부 지정 국어문화원)는 외국에서 오신 이주 여성들에게 한국 생활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한국어와 고급 한국어를 가르치는 학교입니다. 한국어를 배우고 싶은 이주 여성들을 모집합니다. ▣ 모집 학생: 한국으로 이주한 여성(한국 거주 5년 넘은 이주 여성) ▣ 수업 시간: 2시간 수업, 매주 월요일과 목요일 낮 2시~ 4시(주 1회 수업도 가능합니다) ▣ 월요일 수업: 한국의 역사와 문학, 한국어 발음 교실/(정재환 한국어학교 교장,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목요일 수업: 책 읽기와 글쓰기, 토론 교실/(조남주 선생님) ▣ 수업료: 없음 목요일 수업은 여름 방학과 겨울 방학 있습니다! ▣ 장소: 5호선 공덕역 근처, 시민공간 ▣ 문의: 02-780-5084, urim.. 2016. 12. 26.
[마침] 알음알음 강좌-우리가 몰랐던 한자의 진실/배문정 교수 [12월 알음알음 강좌] 우리가 몰랐던 한자의 진실 ■ 강사: 배문정(우석대 교수, 인지과학) ■ 때: 2016년 12월 23일(금) 저녁 7시 30분 ■ 곳: 공간 활짝(마포역 2번 출구 또는 공덕역 1번 출구) 2016. 12. 26.
한글 아리아리 598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598 2016년 12월 22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차례] ◆ [알림]12월 알음알음 강좌(12.23.금) ◆ [알림] 2016년 기부금영수증 발급 안내 ◆ [항의] 교육부 학교정책실 항의 방문(12.16.금) ◆ [우리말 이야기] 알은체하다-성기지 운영위원 ◆ [누리방송3-26] 그러니까 말이야-내년에 뵙겠습니다. ◆ [우리말 가꿈이] 우리말 사랑 강연 활동 ◆ [한글날 570돌 "한글 사랑해" 신문] 10. '다르다'라고 해야 할 때 '틀리다'라고 하면 틀려 ◆ [후원] 한글문화연대 후원 및 회원 가입 안내 ◆ [알림] 12월 알음알음 강좌(12.23.금) ▲ 수강 신청 하러 가기 ◆ [알림] 2016년 기부금영수증 발급 .. 2016. 12. 22.
우리말 가꿈이, 우리말 사랑 강연 활동 우리말 가꿈이는 중학생과 수능시험을 마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십자말 풀이', '우리말 알아 맞히기', '우리말 사랑 강연' 활동을 펼쳤습니다. 11월 29일과 30일에는 인천부개고등학교, 인천남고등학교에서 12월 22일에는 신수중학교에서 우리말과 한글을 사랑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2016. 12. 22.
한글 아리아리 597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597 2016년 12월 15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 [아리아리 차례] ◆ [알림] 12월 알음알음 강좌(12.23.금) ◆ [우리말 이야기] 뚝배기와 곱빼기-성기지 운영위원 ◆ [누리방송3-25] 그러니까 말이야-손바닥에 장을 지진다? ◆ [우리말글 강연 활동] 정재환 공동대표-쉽고 바른 공공언어 쓰기(12/12) ◆ [대학생 기자단] 11월 기사 ◆ [이웃집 소식] 농촌진흥청, 알기 쉬운 농업용어집 수정증보판 발간 ◆ [한글날 570돌 "한글 사랑해" 신문] 9. 대한민국 공문서는 한글로 적어야 한다. ◆ [알림] 12월 알음알음 강좌(12.23.금) ▲ 수강 신청 하러 가기 ◆ [우리말 이야기] 뚝배기와 곱빼기-성기지 운영위원 요즘 .. 2016. 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