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2501

[알림]제7회 바른 말 고운 말 쉬운 말 표어 공모전(~9/13) 제7회 바른 말 고운 말 쉬운 말 표어 공모전(~9/13) 2015. 7. 20.
딴전 피우는 사람들 [아, 그 말이 그렇구나-95] 성기지 운영위원 딴전 피우는 사람들 오래 전부터 전해 오는 관용구 가운데 ‘딴전을 부리다’, ‘딴전 피우다’는 말이 있다. 여기서의 ‘딴전’은 ‘다른 전’에서 온 말이다. 물건을 늘어놓고 파는 가게를 ‘전’(廛)이라 한다. 허가 없이 길에 벌여놓은 가게를 지금은 ‘노점’이라 하지만 옛날에는 ‘난전’이라 했다. 아직도 쌀가게를 이르던 ‘싸전’과 생선가게를 뜻하는 ‘어물전’이 생활언어에 남아 있다. 딴전을 부린다는 것은 이미 벌여 놓은 자기 장사가 있는데도 남의 장사를 봐 준다거나, 다른 곳에 또 다른 장사를 펼쳐 놓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요즘에는 이 ‘딴전’이 어떤 일을 하는 데 있어서 그 일과는 전혀 관계없는 일을 뜻하는 말로 쓰이고 있다. 이 말과 같은 뜻으로 ‘딴청’.. 2015. 7. 13.
[알림] 한글문화연대 여름 이기기 한판 행사!!(~07/25) [한글문화연대 여름 이기기 한판 행사!!] 한글문화연대 페이스북 페이지 행사글 "공유"하고 팥빙수에 휴가비까지~ ▶ 다음 '한글 전용' 글쓴이는 누구일까요? ㆍ천정배(국회의원) ㆍ황우여(교육부장관) ㆍ이회창(전 대법원장) ㆍ박원순(서울시장) ㆍ나경원(국회의원) ※ 아래 페이스북 글을 "공유"하고 설문지에 정답을 적어 보내주세요. 반드시 페이스북 공유를 해야 휴가비 추첨 대상이 됩니다. ♣ 휴가비 3명: 1등 50만 원, 2등 30만 원, 3등 20만 원(이 글을 공유한 정답자 중에서 추첨) ♣ 50명에게 파리바게트 5천 원 짜리 팥빙수~ ♣ 참여 방법: 페이스북 행사글 공유하고 아래 양식에 정답 적어 보내기 ♣ 마감: 2015년 7월 25일(토) 오후 5시 ♣ 발표: 2015년 7월 28일 ♣ 주최: 한.. 2015. 7. 10.
조촐한 자리란? [아, 그 말이 그렇구나-94] 성기지 운영위원 조촐한 자리란? 집에 손님을 맞이할 때, 애써서 갖은 반찬들을 한 상 가득 준비하고도 “차린 건 없지만 많이 잡수세요.”라고 겸손해 하는 것이 우리네 문화다. 그런데 이와 비슷한 경우로, 칠순 잔치 등에 청첩장을 보내면서 “조촐한 자리지만 꼭 참석해 주세요.”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는 ‘조촐하다’란 말을 ‘변변치 못하다’란 겸양의 표현으로 쓰고 있는 듯하지만, 사실 이 말은 그런 뜻이 아니다. ‘조촐하다’란 말은 본디 “아주 아담하고 깨끗하다”란 뜻을 가진 낱말이다. 그러므로 이 말은 자리를 마련한 쪽에서 쓸 말이 아니라, 초대받은 손님이 주인에게 “조촐한 자리를 마련해 주셔서 무척 즐거웠습니다.” 하고 칭찬할 때 쓰는 것이 알맞다. “아주 아.. 2015. 7. 3.
자동심장충격기 붙임딱지 부착 행사 6월 23일 화요일 11시, 서울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에 한글문화연대와 우리말 가꿈이가 외친 "쉬운 말이 시민의 안전과 권리를 지킨다"라는 구호가 울려 퍼졌다. 광화문 광장에 앉아 계신 세종대왕님이 듣고 기뻐하셨을 만큼 우렁찼다. 한글문화연대는 서울도시철도공사와 함께 지하철 5678호선에 설치된 심장충격기의 'AED, 제세동기'라는 표시를 '자동심장충격기'로 바꾸기로 하고 5호선 광화문역에서 붙임딱지 부착 행사를 했다. 오늘 행사에는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곽창현 광화문역 역장, 이문규 우리말 가꿈이 대표와 10여 명의 단원들이 참석했다. 우리말 가꿈이 대학생들은 "AED나 제세동기가 아니라 자동심장충격기라 부르자"는 내용의 펼침막과 손팻말로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쉬운 말의 중요함을 알렸다... 2015. 6. 24.
좋은 기사 쓰려면 작은 실수부터 줄여야 [기사 소감문]좋은 기사 쓰려면 작은 실수부터 줄여야 이소영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 2기(lovely3137@daum.net) ① 기사 제목: 임금님은 청소부? ② 언론사: 부산일보 ③ 날짜: 2015년 6월 10일 ④ 이진원 교열팀장 ⑤ 전자우편: jinwoni@busan.com ⑥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50610000027 기자단 활동을 시작한 뒤로, 전문 기자들은 기사를 어떤 식으로 쓰는지 보기 위해 전보다 다양한 기사들을 접하려 하고 있다. 기사들을 읽으며 배우는 것도 많지만 실망스러운 점도 있었다. 가장 크게 실망한 점은 의외로 오자가 발견되는 기사들이 많다는 것이다. 혹시나 해서 며칠 후에 다시 들어.. 2015. 6. 24.
산수갑산은 어디일까? [아, 그 말이 그렇구나-93] 성기지 운영위원 산수갑산은 어디일까? 힘든 일이지만 꼭 해내겠다는 의지를 밝힐 때, “산수갑산에 가는 한이 있어도”라는 말을 할 때가 있다. 이 ‘산수갑산’은 어디일까? 속담의 의미상 누구나 가기 싫어하는 험한 곳인 것만은 분명하다. 마치 ‘지옥에 가는 한이 있더라도’라는 뜻으로 들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산수’는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경치를 표현할 때 자주 쓰는 말이다. 어찌된 일일까? 사실 ‘산수갑산’은 ‘삼수갑산’을 잘못 쓰고 있는 것이다. 산과 물의 경치를 뜻하는 ‘산수’란 말에 익숙해서, 또는 ‘산수’와 ‘삼수’의 발음을 혼동하여 흔히들 ‘산수갑산’으로 알고 있을 뿐이다. 이 속담은 경치 좋은 곳에 간다는 뜻이 아니라, ‘험한 곳에 가는 한이 있더.. 2015. 6. 24.
유월은 육회보다 육젓 [아, 그 말이 그렇구나-92] 성기지 운영위원 유월은 육회보다 육젓 사람이 먹는 고기 중에 가장 으뜸으로 꼽는 것이 예나 지금이나 쇠고기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예전에는 한자말 고기 육(肉) 자가 붙어 있으면 대개 쇠고기를 가리키는 것이었다. 간장에 쇠고기를 넣고 조린 반찬을 ‘육조림’이라 하고, 쇠고기를 다져서 중탕하여 짜낸 국물은 ‘육즙’이고, 또 쇠고기를 잘게 썰어 양념해서 그냥 먹는 ‘육회’도 있다. 그러니까, 육조림이니, 육즙이니, 육회라고 하면 모두 쇠고기를 재료로 한 것이다. 이에 비해서 다른 고기로 만든 음식에는 동물의 명칭을 그대로 썼다. 예를 들면, 제육볶음이란 음식이 있는데, 이 음식의 재료는 돼지고기이다. 그래서 돼지 저(猪) 자와 고기 육(肉) 자를 붙여 ‘저육볶음’이라 부르다가.. 2015. 6. 19.
[발표]우리말 사랑 동아리 3기 선정 결과 건강한 언어문화를 만드는데 앞장 설 우리말 사랑 동아리3기를 알립니다. 우리말을 지키고 가꾸는데에 관심을 가지고 지원해주신 많은 분께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130개 지원: 청소년부 116개, 대학부 5개, 일반부 9개) * 6월 27일(토)로 예정되었던 다짐마당(발대식)은 중동호흡기증후군 확산을 막기 위해 취소하게 되었습니다. 선정된 동아리에게는 따로 자세한 활동 안내를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2015.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