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2501

부딪힐 때와 부딪칠 때 [아, 그 말이 그렇구나-91] 성기지 운영위원 부딪힐 때와 부딪칠 때 복잡한 지하철을 타게 되면 손의 위치에 신경을 쓰게 된다. 의도하지 않더라도 자칫 성추행의 오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과 사람이 부대끼며 사는 세상이라지만, 절대로 부대끼면 안 될 때도 있는 것이다. 그런데 요즘 출근길 지하철에서는 손의 위치보다도 간간이 나오는 잔기침이나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인한 재채기가 더욱 신경 쓰인다. 메르스는 마침내 사람과 사람 사이를 2미터 밖으로 떨어트렸다. 2미터 접근도 용납 않는 이 살벌한 시국에, 지하철에서 내리고 타는 사람끼리 부딪게 되는 참사가 벌어졌다고 하자. 이럴 경우에는 ‘부딪힐’ 때와 ‘부딪칠’ 때가 있을 수 있다. 부딪힌 경우에는 서로 사과하며 지나쳐 가야지, 시비를 일으킬 일이.. 2015. 6. 10.
[알림]‘한글문화연대 부설 한국어학교’에서 학생을 모집합니다. ‘한글문화연대 부설 한국어학교’에서 학생을 모집합니다. 반갑습니다. 한글문화연대가 운영하는 한국어학교는 외국에서 오신 이주 여성들에게 한국 생활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한국어와 고급 한국어를 가르치는 학교입니다. 한국어를 배우고 싶은 분들을 빨리 만나 뵙고 싶습니다. 많이 신청해 주세요. ▣모집 학생: 한국으로 이주한 여성 ▣수업 시간: 2시간 수업, 매주 월요일과 목요일 낮 2시~ 4시 ▣수업 내용: 유치원/초등학교 알림장 쓰기, 동주민센터 업무 보기, 토픽문제 풀이 등▣입학식 및 개강: 2015년 8월 24일 월요일 (입학 전 예비모임 1회) ▣수업료: 없음 ▣문의나 신청: 문자나 전자우편 010-2614-4960, urimal365@daum.net ※한글문화연대 소개: 한글문화연대는 우리 삶의 모든 .. 2015. 6. 9.
두 손 벌려 사업을 벌여 [아, 그 말이 그렇구나-90] 성기지 운영위원 두 손 벌려 사업을 벌여 흔히 “사업을 크게 벌렸다.”라든지, “잔치를 벌렸다.”라고 말하는 것을 들을 수 있는데, 이것은 올바른 말이 아니다. ‘벌리다’는 “둘 사이를 넓힌다.”는 뜻으로 쓰는 말이다. “두 팔을 벌리다.”, “입을 벌리다.”, “간격을 벌리다.” 이런 말들에서는 ‘벌리다’로 쓴다. 또, “자루를 벌렸다.”라든가 “두 손을 벌렸다.”(오므라진 것을 펴다)처럼 쓸 때에도 ‘벌리다’라고 한다. 이런 예들에서 볼 수 있듯이, 물리적인 거리를 떼어서 넓히는 것을 ‘벌린다’고 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어떤 일을 계획하여 시작하다.” 또는 “여러 가지 물건을 늘어놓다.”는 뜻으로 쓰는 말은 ‘벌이다’이다. 앞서 예를 들었던 “사업을 크게 벌렸다.. 2015. 6. 3.
우리말과 한글, 구별하여 사용합시다-최아름 대학생 기자 우리말과 한글, 구별하여 사용합시다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2기 최아름 기자 choia14@naver.com 2015년 4월 24일, 한글문화연대 기자단은 우리말 교육을 받기 위해 광화문에 위치한 한글학회로 향했다. 늦은 여섯 시에 시작된 교육의 첫 시작은 바로 우리말과 한글의 구분이었다. 흔히 초롱이나 다솜 등 한자로 쓸 수 없는 이름을 한글 이름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는 틀린 표현으로 우리말 이름이라고 하는 것이 맞다. 사전을 봐도 한글은 “우리나라 고유 문자의 이름. 세종대왕이 우리말을 표기하기 위하여 창제한 훈민정음을 20세기 이후 달리 이르는 것으로, 1446년 반포될 당시에는 28 자모(字母)였지만, 현재는 24 자모만 쓴다.”라고 정의 되어있다. 한편, 우리말은 “우리나라 사.. 2015. 6. 2.
이제훈 한겨레 기자에게 듣는 기사쓰기-이지영 대학생 기자 이제훈 한겨레 기자에게 듣는 기사쓰기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2기 이지영 기자 (milk5006@naver.com) 지난 4월 10일 오전 10시, 한글문화연대 사무국이 있는 서울 마포구의 정우빌딩에서 라는 주제로 한겨레 이제훈 기자의 특강이 진행됐다. 약 두 시간 가량 이어진 특강에서는 이제훈 기자의 여러 경험들과 함께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2기들에게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글을 쓰는 방법에 대한 조언들로 이루어졌다. 또한 사전에 미리 받은 기자단들의 질문도 함께 답해주는 방식으로 특강은 이어졌다. 이제훈 기자는 대학생 기자단들에게 기사를 빨리 쓰는 방법도 알려줬는데 “일단 써라”가 가장 정답이라고 했다. 일단 쓴 다음에 많이 고치는 과정을 거쳐야지만 조금 더 완성도 있고 좋은 기사가.. 2015. 6. 2.
복수 표준어의 확대로 언어 현실 반영해야-이소영 대학생 기자 복수 표준어의 확대로 언어 현실 반영해야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2기 이소영 기자 (lovely3137@daum.net) 복수 표준어 인정, 대중들의 환호를 받다 2011년 8월 마지막 날, ‘짜장면’이 복수 표준어로 인정되는 거사가 있었다. 한동안 누리꾼들은 ‘짜장면’ 이야기를 하느라 바빴고, 실시간 인기 검색어에서도 ‘짜장면’의 검색 순위는 떨어질 줄을 몰랐다. ‘자장면’이라고 어색하게 발음해야 했던 불편한 상황이 줄어들어 다행이라는 의견들이 많았다. 그 후 2014년에 또 다시 ‘삐지다(삐치다)’ 외 12개 항목이 복수 표준어로 추가 인정되었고, 이때에도 대중들의 반응은 긍정적이었다. 이처럼 새로 인정된 표준어들은 많은 사람들의 환대를 받으며 자연스럽게 자리 잡고 있다. 이미 표준어만큼이나 혹은 .. 2015. 6. 2.
어려운 전력산업 관련 용어, 누구나 알 수 있게 순화되다-박지현 대학생 기자 어려운 전력산업 관련 용어, 누구나 알 수 있게 순화되다.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2기 박지현 기자 pjhpuppy@naver.com 광복 70주년을 맞아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연구팀과 대학생 연합동아리 ‘생존경쟁’은 ‘언어문화 개선을 위한 일본어 잔재 설문조사’(4.28-5.7)를 했다. 서울시 역시 국어 사용조례에 따라 일본식 한자어와 외국어를 순화하여 서울 시보에 고시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산업통상지원부(이하 산업부)는 전기, 전자, 정보통신 등 전력분야의 전문용어 90개를 일반인이 쉽게 알 수 있도록 표준화하였다. 일본식 한자, 어려운 줄임말을 쉬운 용어로 순화하고, 외래어의 한글화, 혼용중인 용어는 대표용어를 선정하여 통일한 것이다. 예를 들면, 연돌 → 굴뚝, (전압을)인가하다 → (전.. 2015. 6. 2.
제수씨 [아, 그 말이 그렇구나-89] 성기지 운영위원 제수씨 새로 이사한 집에 이웃이나 친지를 불러 집을 구경시키고 음식을 대접하는 것을 ‘집들이한다’고 말한다. 흔히 집들이에 초대받아 갈 때에도 ‘집들이 간다’고 하는데, 이것은 잘못된 말이다. 새로 집을 지었거나 이사한 집에 집 구경 겸 인사로 찾아보는 일은 ‘집알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집들이에 초대받아 갈 때에는 ‘집알이 간다’고 말하는 것이 옳다. 요즘 여기저기 집들이하는 집이 눈에 뜨인다. 회사 동료나 친구 집에 집알이를 가면, 그 집 안주인은 갑자기 손님들의 ‘제수씨’가 되어 버린다. 온종일 음식 마련하느라 분주했던 안주인은 호적에도 없는 여러 시아주버니를 맞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옳지 못하다. 친구의 아내를 부를 때에는 일반적으로 ‘아주머니.. 2015. 5. 28.
신어,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최아름 대학생 기자 신어,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2기 최아름 기자 choia14@naver.com 3월 25일, 2013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일간지 등 139개 온‧오프라인 대중매체에 등장한 신어 334개를 조사하여 국립국어원이 ‘2014 신어’를 발표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신어’는 새로 생긴 말, 혹은 새로 귀화한 외래어로 정의되며 신조어와 같은 말이다. 국립국어원은 이와 같은 신어를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관리함으로써 세대 간, 계층 간의 의사소통을 활발히 하고 정보 공유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4 신어’ 조사 사업을 수행하였다. ‘2014 신어’는 전반적으로 명사 또는 명사구로 동사, 부사, 형용사인 신어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다. 또한 외래어로만 이루어진.. 2015.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