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2501

그림을 시작하고 보니(2) [우리 나라 좋은 나라-60] 김영명 공동대표 그림을 시작하고 보니(2) 이제 정말 구청 문화센터로 가야 하나? 망설이다가 가 보았다. 백화점 문화센터에도 가보았다. 몇몇 선생님들에게 그림을 배웠고 지금도 배우고 있다. 개중에는 나와 맞는 분도 있고 안 맞는 분도 있었다.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이겠지만 미술 분야도 선생은 학생과 맞아야 하는 것 같다. 선생님들 중에 나더러 그림에 소질이 있다고 말하는 분들이 있었다. 나는 내가 소질이 있는지 없는지 잘 몰랐다. 아니 소질이 별로 없다고 생각했다는 것이 더 옳겠다. 내가 미술에 특별한 소질이 없다고 생각한 가장 결정적인 근거는 학교 다닐 때 미술 성적이 특별히 좋지 않았고 미술반에 들어갈 정도로 재능이나 관심이 없었다는 사실일 것이다. 그런데 지금 생각하니 .. 2016. 1. 21.
드셔 보세요 [아, 그 말이 그렇구나-120] 성기지 운영위원 드셔 보세요 요즘 텔레비전을 켜면 방송 채널마다 으레 음식 관련 프로그램이 방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몇몇 요리사들은 ‘셰프’라는 낯선 이름으로 큰 인기를 누리고 있기도 하다. 흔히 ‘먹방’이라 불리는 이들 프로그램에서는 출연자들마다 음식 맛을 표현하는 기발한 미사여구를 쏟아내느라 여념이 없다. 그러나 맛을 표현하는 미사여구보다 중요한 것이 있다. 그것은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다. 방송을 보다 보면, 상대방에게 음식을 권할 때에 가장 흔하게 쓰는 표현이 “드셔 보세요.”라는 말임을 알 수 있다. 과연 바른 말일까? 고기를 잡으라는 말을 높여 말할 때에는 “고기를 잡아 보세요.”라고 하면 되고, 물을 마셔 보라는 말도 “물을 마셔 보세요.”라고 .. 2016. 1. 15.
그림을 시작하고 보니(1) [우리 나라 좋은 나라-60] 김영명 공동대표 그림을 시작하고 보니(1) 한 3년 전부터 그림을 배우기 시작했다. 그 전부터 그런 생각이 있었지만 실행을 하지 못하고 있다가 불현듯 어떤 계기로 시작하게 되었다. 어릴 때부터 만화 그리는 걸 좋아했다. 만화 가게도 많이 드나들었다. 초등 6학년 때 처음으로 반장을 하게 되었는데, 선생님께서 방과 후에 만화 가게에 들러 만화 보고 있는 놈들(여기에는 여성 동지들도 포함된다) 이름을 적어오라고 분부하셨다. 만화 가게를 애용하는 나로서는 윤리적 딜레마에 빠지지 않을 수 없었다. 아, 인생이란 이런 모순의 연속이로구나.... 그런 용어들을 그때 알았다면 그런 용어들로 생각했겠지만, 그런 용어들을 몰랐기 때문에 그냥 좀 난처한 기분만 들었다. 하여간 만화를 좋아해서.. 2016. 1. 12.
우리말 가꿈이 9기의 마지막, 지난 5개월을 되돌아보며... 우리말 가꿈이 9기의 마지막, 지난 5개월을 되돌아보며... 강예슬 기자(123rhdnsthfl@naver.com) 2016년 1월 2일, 우리말 가꿈이 9기 수료식을 마지막으로 우리말 가꿈이 9기의 활동은 모두 종료된다. 우리말 가꿈이 9기는 크게 ‘우리말 지킴이 분야(잘못된 우리말 사용 개선)’, ‘우리말 알림이 분야(우리말과 우리말 가꿈이를 알림)’ 그리고 ‘우리말 누리미 분야(더 많은 사람들이 우리말을 누리게 함)’로 나뉘어서 선발되었다. 총 12모둠으로 구성된 9기는 올해 8월 22일 모꼬지를 시작으로, 사람들의 언어사용문화개선 활동을 비롯하여 한글을 지키고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한 활동을 해왔다. 이런 우리말 가꿈이 9기의 지난 9월부터 12월까지의 월별 모임 주제와 주요 모둠 활동을 담아보았다.. 2016. 1. 7.
엉덩이와 궁둥이 [아, 그 말이 그렇구나-119] 성기지 운영위원 엉덩이와 궁둥이 몸에 관한 우리말 가운데 자주 헷갈리는 것들이 있는데, ‘엉덩이’와 ‘궁둥이’도 그 가운데 하나다. 사람 몸의 뒤쪽 허리 아래에서부터 허벅다리 위쪽까지 살이 불룩한 부분을 ‘볼기’(한자말로는 ‘둔부’)라고 한다. ‘엉덩이’는 이 볼기의 윗부분을 가리키고, 이에 비해 ‘궁둥이’는 볼기의 아래쪽, 앉으면 바닥에 닿는 부분을 가리킨다. 요즘에는 엉덩이와 궁둥이를 포함한 전체를 그저 ‘엉덩이’라고 말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리하면 ‘볼기’라는 말은 사라지고 ‘궁둥이’는 엉덩이의 속어처럼 전락하게 된다. 몸의 각 부위를 가리키는 멀쩡한 우리말들이 제 구실을 못 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막기 위해서라도 엉덩이와 궁둥이의 언저리 전체를 일컫는 ‘볼기’.. 2016. 1. 7.
송년 모임에 관한 말 [아, 그 말이 그렇구나-118] 성기지 운영위원 송년 모임에 관한 말 송년 모임을 예전에는 ‘망년회’라고 말해 왔는데 일본에서 쓰는 한자말이다. ‘망년’이란 말은 일본의 세시 풍속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 사실이 널리 알려진 뒤로는 흔히 ‘송년회’라고 고쳐 부르고 있다. 일본에서는 ‘망년회’라고 하여, 섣달그믐 무렵에 친지들끼리 모여 먹고 마시는 풍속을 지금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자리를 갖는 것이므로, ‘송구영신’에서 따온 ‘송년’이란 말을 쓰는 것이 알맞은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송년 모임에서 여럿이 술자리에 둘러앉아 술을 마실 때, 빠지지 않는 것이 있다. 바로 다 같이 잔을 높이 들어 부닥뜨리는 행위이다. 이럴 때 함께 외치는 구호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말.. 2015. 12. 31.
외국식 표현의 프로야구 용어, 이제는 우리말식 표현이 어떨까? 외국식 표현의 프로야구 용어, 이제는 우리말식 표현이 어떨까? 오정수 기자(우리말가꿈이9기, leemina92@naver.com) 인기스포츠 프로야구, 그러나 외면 받는 우리말식 야구 용어 생활이란 사람이 환경에서 활동하며 살아간다는 말을 의미한다. 의식주뿐만 아니라 더 나은 삶의 질을 위해 저마다의 취미와 여가생활을 즐긴다. 그 중 ‘스포츠’도 현대인들이 즐기는 취미 중 하나로 우리의 생활 속에 자리 잡고 있다. 프로스포츠는 날이 갈수록 인기가 늘고 있다. 특히 1982년을 시작으로 꽤 긴 역사를 가지고 있는 프로야구는 현재 700만 관중 시대이며, 여성 관중의 수도 늘 정도로 인기가 대단하다. 하지만 한국의 야구 용어들이 우리만의 특수성을 갖추지 못한 채, 영어식 표현을 비롯해 잘못된 일본식 영어 표.. 2015. 12. 24.
무엇이든 ‘가져야’ 할까? [아, 그 말이 그렇구나-117] 성기지 운영위원 무엇이든 ‘가져야’ 할까? 우리 신문들의 기사를 꼼꼼히 살펴보면, 영어식 표현이나 번역투 말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의 숱한 노력에도 아랑곳없이 우리말의 고유한 틀이 나날이 일그러지고 있으니 답답한 노릇이다. 그 가운데서도 “건전한 생각을 가진 정치인”이라든가, “소모임을 가졌다.”, “가진 사람들”처럼, ‘가지다’라는 말이 본뜻과는 다르게 매우 여러 곳에 쓰이고 있는 것이 눈에 뜨인다. 심지어는 “다섯 남매를 가진 가장”과 같은 표현까지도 보인다. 이때의 ‘가지다’는 모두 우리말에 알맞지 않게 쓰인 사례들이다. 우리말에서 ‘가지다’는 “손에 쥐거나 몸에 지니다”라는 뜻으로 써 온 낱말이다. 다시 말하면 무엇인가를 ‘차지하.. 2015. 12. 23.
[알림]2015년 기부금 영수증 발급 안내 [2015년 기부금 영수증 발급 안내] 2015년에도 우리말글을 지키고 가꾸는 데에 마음을 모아주셔서 고맙습니다. ▷ 기부금 확인, 기부금 영수증 발급 방법 - 한글문화연대는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연말정산 간소화란 국세청이 연말정산에 필요한 각종 소득공제 증명자료(금융기관 거래내역, 학비/병원비 납입내역, 각종 기부금 내역 등)를 모아 국세청 홈택스 누리집(www.hometax.go.kr)에서 제공하는 것입니다. - 홈택스 누리집에서 2015년 기부 내역을 확인하고 기부금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으니 이곳에서 기부금영수증을 인쇄하거나 문서로 내려받아 회사에 제출하시면 됩니다.(2016년 1월 중순, 홈택스에서 기부금 확인과 영수증 발급이 가능할 예정입니다.) - 혹시 연말정산간.. 2015. 1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