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783

[우리말 비타민] 시건장치 2023년 6월 21일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시건장치 [우리말 바루기] ‘시건장치’가 뭐예요? 2023. 6. 21.
[국민일보] ‘보이스피싱’ 대신 ‘전화금융사기’로… 쉬운 우리말 60개 선정 - 2023.06.19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알기 쉬운 우리말로 기사를 쓰도록 언론에 장려하는 활동을 시작한다고 19일 밝혔다. (중략) 이건범 대표는 “대중적 언어문화의 주역인 기자들이 ‘쉬운 우리말 쓰기’의 주체로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이번 활동이 어려운 외국어 사용을 줄이고, 일상생활에서 쉬운 우리말이 널리 쓰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출처: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8377388&code=61121111&cp=du 이 기사는 국민일보(2023.06.19.)에서 발행한 기사입니다. ‘보이스피싱’ 대신 ‘전화금융사기’로… 쉬운 우리말 60개 선정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알기 쉬운 우리말로 기사를 쓰도록 언론에 장.. 2023. 6. 21.
[뉴시스] '원천 기술'→'딥테크' 이해도 18%…액셀러레이터는?[우리말로 하자⑦] - 2023.06.17 "한국 스타트업들이 굉장히 훌륭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특히 딥테크 기업에 관심이 많고 대화하고 싶습니다." 최근 한국을 찾은 '챗GPT의 아버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중소벤처기업부가 개최한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중략) 한글문화연대가 실시한 외국어의 국민 이해도 조사(2020년)에 따르면 딥테크에 대한 국민 평균 이해도는 18%(100% 기준)에 그쳤다. '딥테크'는 '기저 기술', '원천 기술'의 우리말로 쓰면 된다. (후략) 출처: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614_0002338289&cID=10701&pID=10700 이 기사는 뉴시스(2023.06.19.)에서 발행한 기사입니다. 2023. 6. 19.
[우리말 비타민] 펫 2023년 6월 16일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펫 [우리말 아·나·바·다] 2. 사회분야 | 펫(PET) 2023. 6. 16.
《쉬운 우리말을 쓰자》 2023년(여름·가을·겨울호) 편집디자인/제작/발송 용역 업체 선정 결과 2023. 6. 16.
한글 아리아리 930 새 창으로 보기 한글 아리아리 930 2023년 6월 16일 2023년 6월 16일, 우리말 소식 📢 1. 우리말글 지킴이를 모집합니다! 2. 우리말가꿈이 푸른 4기를 모집합니다! 3. 쉬운 우리말 게임 - 게임하고! 시원한 상품받고! 4.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아라사에서 러시아까지' 5. 서울특별시에 '홈페이지, 사이트 등 외국어'대신 쉬운 우리말 쓰기를 요청했습니다. 6. 우리말 이야기 7. 대학생 기자단 9기 기사 - 이성민 기자 📮우리말글 지킴이를 모집합니다!📮 한글문화연대 '우리말글 지킴이'를 모집합니다. - 공공기관에서 남용하는 외국어를 바로잡고 - 쉬운 우리말 쓰기에 앞장서는 시민들의 모임 - 단순히 외국어를 찾기만 하는 것이 아닌 -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에 .. 2023. 6. 16.
[서울신문] “오마카세는 맡긴요리, 썸은 살짝연애”…다시 써보는 우리말 -2023.06.14 (전략)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홍보 관련 보도자료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중에도 명확하게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가 많다.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는 중앙정부와 전국 17개 시도 지자체의 누리집에 올라온 올해 1분기 월별 보도자료를 수집해 분석했다. 그 결과 외국어를 사용한 보도자료 수와 외국어 표현 남용 지수가 상승세를 보였다. 중앙정부 기관 외국어 사용 보도자료 비중은 지난 1월 43.2%에서 2월 49.9%, 3월 51.4%로 높아졌다. 이 기간 보도자료(단어 1000개 기준으로 환산)당 외국어 표현 개수도 각각 5.24개, 5.97개, 7.09개로 증가했다. (중략) 7일 한글문화연대는 507명의 기자가 참여한 쉬운 우리말 기사 용어에 관한 설문조사와 국어 전문가 및 언론단체의 자문 등을 거쳐 개선 .. 2023. 6. 15.
[머니투데이] [투데이 窓]대중을 왕따시키는 과학기술 전문용어 - 2023.06.13 지하철역이나 공공장소에는 자동심장충격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AED)가 비치돼 있다. 심장 기능이 정지되거나 호흡이 멈췄을 때 사용하는 응급처치 의료기기다. 예전에는 자동제세동기(自動除細動器)로 표시돼 있었다. 심장에 충격을 줘 심실세동을 제거하는 기구란 뜻이다. 하지만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라 제세동기 대신 심장충격기로 바꿨다. 우리 일상에는 이해하기 어려운 전문용어가 많고 이중에는 과학기술 관련 용어가 많다. 이런 전문용어는 대중이 과학기술을 어려워하는 이유 중 하나다. (중략) 어려운 전문용어는 대중을 왕따시키고 관심을 잃게 한다. 전문용어의 범람으로 대중과 점점 멀어지는 현실을 현행법도 분명히 인지한다. 국어기본법 제17조에는 '국가는 국민이 각 분야의.. 2023. 6. 13.
[우리말 비타민] 놀라 2023년 6월 10일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놀라 [우리말 바루기] '놀래키지' 맙시다 2023. 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