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대학생기자단756 ‘가족 호칭에 대한 국민 생각 조사’ 잊지 말고 참여하세요!(이달 22일까지)-박다영 기자 ‘가족 호칭에 대한 국민 생각 조사’ 잊지 말고 참여하세요! -이달 22일까지.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5기 박다영 기자 ghj38070@nate.com 지난 1월 22일 여성가족부는 ‘2019년 건강 가정 기본계획’을 마련하여 추진한다고 밝혔다. 가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다양성이 보장되고 존중받는 미래사회를 만들기 위함이다. 시행 계획 중에는 ‘결혼 후 성별 비대칭적 가족 호칭 문제 개선’이 있다. 여성 배우자 가족과 남성 배우자 가족을 부르는 호칭이 평등하지 않고 비대칭적이므로 이를 개선하자는 취지라고 한다. 계획을 시행하기 전 국민 여론을 모으기 위해 여성가족부에서는 ‘가족 호칭에 대한 국민 생각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중장년층과 남성의 참여율이 저조하고, 여성을 포함한 국민 전체.. 2019. 2. 14. ‘반짝’ 행사성 한글 상징, 붙박이로 하자.-박다영 기자 ‘반짝’ 행사성 한글 상징, 붙박이로 하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5기 박다영 기자 ghj38070@nate.com 해마다 한글날에는 여러 곳에서 한글날을 기념하는 행사를 연다. 길거리에서는 세종대왕의 업적이나 한글의 매력을 알리고, 학교에선 글짓기와 멋글씨 대회를 연다. 그리고 크게 눈에 띄지는 않지만, 네이버와 다음 같은 검색 누리집에선 ‘NAVER/DAUM’이라는 알파벳 상징 대신 한글 상징인 ‘네이버/다음’을 사용한다. 그러나 한글날 24시간 동안만 등장하는 반짝 행사라는 점에 아쉬움이 남는다. ▲네이버와 다음의 한글날 기념 한글 상징 (출처=네이버 블로그) 물론 인사동을 제외한 길거리에선 여전히 ‘Etude House’, ‘ARTBOX’ 등 영어 간판이 대부분이고, 한글날에도 가게에서 별다.. 2019. 1. 31. 우리말 사전의 시작 ‘말모이’-변용균 기자 우리말 사전의 시작 ‘말모이’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5기 변용균 기자 gyun1157@naver.com 2019년 새해가 밝고 우리말에 관한 첫 번째 영화 ‘말모이’(감독 엄유나)가 개봉했다. 많은 사람이 ‘말모이’가 무슨 뜻인지 몰랐을 것이다. ‘말모이’는 글자 그대로 ‘우리의 말을 모은다’라는 뜻이 담겨있는 말이자 우리나라 최초의 국어사전을 일컫는 이름이다. 영화 ‘말모이’는 실제 주시경 선생께서 제자들과 함께 1911년부터 편찬 준비를 시작한 우리말 사전 ‘말모이’를 소재로 하여 조선어학회 사건을 기반으로 재구성했다. 주시경 선생님이 돌아가시며 남긴 ‘말모이’의 원고를 이어받은 조선어학회가 사전 편찬을 이어나가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1940년대가 배경이며 당시에는 일본의 ‘민족말살정책’으로 .. 2019. 1. 17. 모르고 쓰는 영어식 표현-박찬미 기자 모르고 쓰는 영어식 표현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5기 박찬미 기자 chaanmii@naver.com 누군가에게 “좋은 시간 되세요”라는 말을 건넨 적이 있을 것이다. 이는 일상에서 흔히 쓰는 인사말이다. 그러나 이 말은 우리말 표현이 아닌 영어식 표현이다. 사람들은 이러한 인사말이 잘못된 말이라는 사실을 잘 모른다. 영어식 표현은 어떤 것이 있을까? ▲ 카페 안 화장실 문에 붙어있는 잘못된 표현의 문구 ‘되세요’를 쓰는 경우는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위 사진은 강남에 있는 어느 카페의 화장실 문에 붙어있는 글을 찍은 것이다. 종이에는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라는 문장이 적혀있다. 이는‘have a day’라는 영어식 표현이 단어 그대로 번역된 것으로, 잘못된 표현이다. 그러나 여기저기서 .. 2019. 1. 16. ‘토박이말’의 아름다움과 가치-박찬미 기자 ‘토박이말’의 아름다움과 가치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5기 박찬미 기자 chaanmii@naver.com 토박이말이란 순우리말을 뜻하는 또 다른 단어다. 토박이말 중에서는 좋은 뜻을 가진 단어들이 많다. 그래서 토박이말 이름을 가진 친구나, 아기 이름을 토박이말로 짓는 부모를 종종 만날 수 있다. 또한, 순우리말을 사용하면서 그 단어가 토박이말이라는 사실을 전혀 모르는 경우가 있다. 온통 돌이라는 뜻을 가진 토박이말 ‘온돌’을 따뜻한 돌이라는 뜻의 한자어 ‘온돌(溫堗)’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 경우처럼 말이다. 이렇듯,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토박이말을 자주 접하면서 살고 있다. 사랑스러운 토박이말 그렇다면 뜻이 예쁜 토박이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먼저, ‘사랑옵다’라는 말이 있다. 사랑옵다는 ‘생김새.. 2018. 12. 31. 함께 풀어보는 ‘우리말 겨루기’-변용균 기자 함께 풀어보는 ‘우리말 겨루기’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5기 변용균 기자 gyun1157@naver.com 아름다운 말과 한글로 진행하는 유쾌하고 재미있는 퀴즈 쇼가 있다. 바로 2003년부터 KBS에서 방영 중인 이다. 우리말 겨루기는 도전자들이 십자말풀이, 첫소리 문제, 4인 도전문제, 2인 도전 자물쇠 문제, 상품권 타기 문제 등 다양한 문제들로 진행이 된다. 그리고 최종 우승자에게는 달인 문제를 풀 기회를 주며 정답을 맞히면 우리말 달인에 오르게 된다. 우리말 겨루기에 나오는 문제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초반에는 주로 간단한 힌트를 주며 주어진 초성들을 보고 정답을 맞히는 초성 퀴즈 형식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조금 난도가 올라가면 관용구나 사자성어 문제가 나오기 시작한다. 뜻이나 의미에 대한 설.. 2018. 12. 31. 순화한 금융 용어를 사용하기 버겁다면, 용어 설명을 함께 써주자-박찬미 기자 순화한 금융 용어를 사용하기 버겁다면, 용어 설명을 함께 써주자 한글문화연대 5기 기자단 박찬미 기자 chaanmii@naver.com 대출, 이자, 금리 등 금융은 우리의 일상 속에 깊이 자리 잡고 있다. 그래서 금융 지식이 꼭 필요하다. 그런데 금융권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주로 한자어와 외래어로 이뤄져 있어 사람들이 금융 용어를 이해하는데 종종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실제로 지난 2016년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에서 ‘전 국민 금융 이해력 조사’를 진행했는데, 66.2점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정한 최소 목표 점수인 66.7점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금융 이해력 목표 점수에 도달하지 못한 비율이 가장 높았던 층은 20대와 60~70대 층이었다. 청년층과 노년층이 유독 금융에 대한 이해력이 부족했.. 2018. 12. 18. ‘스포츠’, 우리말로 설명하고 싶다.-김온 기자 ‘스포츠’, 우리말로 설명하고 싶다.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5기 김 온 기자 rladhs322@naver.com 평창 동계 올림픽, 러시아 월드컵, 얼마 전 막을 내린 아시안게임까지. 올해 2018년은 가히 ‘체육의 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임효준, 팀 킴, 조현우, 이승우, 황의조 등 걸출한 선수들이 주목을 받으며 체육계에 대한 관심 또한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그만큼 방송국 간의 해설 위원 선정과 중계 경쟁도 치열했다. 방송국마다 종목별로 규칙이나 용어를 경기 전에 간략하게 설명해주거나 아예 따로 특집 방송을 편성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런 노력에도 외국어가 무수히 등장하는 체육 방송이 이해하기 힘들다는 여론과 함께 외국어 남용을 문제 삼는 목소리가 국민들 사이에서 쏟아져 나왔다. 과연 이.. 2018. 12. 18. 가요 속 재미있는 삼행시 찾아보기-박다영 기자 가요 속 재미있는 삼행시 찾아보기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5기 박다영 기자 ghj38070@nate.com 가수 싸이가 2012년에 발표한 ‘강남스타일’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었다. 특히 한국인 사이에선 강남스타일이 한글의 매력을 잘 보여줬다는 호평을 얻었다. 실제로 강남스타일은 노래 제목의 ‘스타일(style)’과 노래 가사에 있는 ‘섹시 레이디(sexy lady)’를 제외하고 대부분 전부 우리말로 이뤄져 있다. 이렇게 가사 대부분이 우리말로 이뤄진 가요도 매력이 있지만, 여기 우리말 삼행시를 이용한 매력적인 가요가 있다. ‘가나다라’, ‘하나, 둘, 셋, 넷’ 간단한 삼행시 이용한 가요 여성 그룹인 에이핑크(A-pink)의 노래 ‘노노노(NoNoNo)’(2013년)에는 ‘가나다라’를 이용한 삼.. 2018. 12. 18. 이전 1 ··· 44 45 46 47 48 49 50 ··· 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