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말만은 '새말'로! (1) 코로나 관련 용어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립국어원, 한글문화연대와 함께 외국어, 신조어를 대체할 새말을 제공하는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어려운 외래 용어가 사회에 널리 퍼지기 전에 우리말로 바꿔 국민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다듬는 일이다. 한글문화연대는 지난해 12월 <쉬운 우리말을 쓰자>라는 이름의 소식지 창간호에 2021년에 만들어진 새말 71개를 소개하고 2022년에 꼭 바꿔 써야 할 말 50개를 담았다. 여기에서 제안하는 새말을 몇 개씩 뽑아 지면에 싣는다.
먼저, 2020년 초 시작돼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코로나19' 사태와 관련된 낱말 10개를 소개한다.
'롱 코비드, 메디컬 푸어(메디 푸어), 트래블 버블, 부스터샷, 코로나 쇼크, 코로나 레드, 코로나 블랙, n차 감염, 셧다운, 언택트'.
언론 보도로 익숙해진 낱말들이지만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외국어다.
(중략)
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798559
본 기사는 경남도민일보(2022.07.06)에서 작성되었습니다.
'활동 > 언론에 나온 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이코노믹] [쉬운 우리말 10] 싱크홀-땅꺼짐, 포트홀-도로 파임, 스쿨존-어린이보호구역 - 2022.07.12 (0) | 2022.07.12 |
---|---|
[뉴시스] [우리말-K팝 톺아보기⑩]음악축제는 '싱어롱' 보다 '떼창'이 제 맛 - 2022.07.09 (0) | 2022.07.12 |
[미디어오늘] 기네스 등재? 민주주의 성숙 최고? 언론의 과도한 '도어스테핑' - 2022.07.06 (0) | 2022.07.12 |
[뉴시스] [우리말-K팝 톺아보기⑨]BTS 하이브도 'ESG'→'사회가치경영'으로 - 2022.07.02 (0) | 2022.07.04 |
[한국NGO뉴스] 한글문화연대, ‘제2회 외국어 남용에 불편했던 이야기 수기·영상 공모전’ 연다 - 2022.06.29 (0) | 2022.07.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