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783

차별어 못지 않은 구조적 언어 차별 얼마 전 장애인 권리 예산의 확보를 요구하는 자리에서 지지발언을 하다가 나도 모르게 말이 꼬였다.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 같은 인간입니다.”라고 해야 할 걸 “장애인과 비정상인 모두 같은 인간입니다.”라고 한 것이다. ‘비장애인’이라고 해야할 걸 ‘비정상인’이라고 했으니, 시각장애인인 나조차 아직도 ‘장애인-비장애인’이라는 낱말짝이 자연스럽지 않은가 보다. 그럼에도 이제 제법 많은 사람에게 ‘장애인-비장애인’이라는 낱말짝이 자리를 잡아간다. 장애인 외에 장애인이 아닌 사람은 비장애인으로 일컫자는 의견이다. 그전에는 ‘장애인-정상인’이라는 낱말짝이 자주 쓰였는데, 그런 구도라면 장애인은 ‘비정상인’이냐는 문제 제기가 많았다. 세상을 장애가 없는 사람의 기준에서 ‘정상’과 ‘비정상’으로 구분하는 태도가 장.. 2023. 5. 26.
'우리말 약칭 제안 모임', 나서서 줄임말을 만든다고? 올 3월 10일에 한국기자협회, 방송기자연합회, 한국어문기자협회, 한글학회, 한글문화연대 등이 뜻을 모아 ‘우리말 약칭 제안 모임’을 꾸렸다. 국립국어원도 협의에 참여한다. 각 단체에서 추천한 연구위원들이 모여 4월 7일에 첫 회의를 열어 운영 방안을 정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를 영문 이름 약칭인 ‘오이시디(OECD)’로 쓰는 일이 많은데, 이 대신 ‘경협기구’와 같이 우리말로 줄인 이름을 만들자는 것이다. 이게 잘 먹힐 일인지, 아니면 욕 먹을 일인지 모르겠다. 무수한 줄임말 신조어 때문에 정신 사나워서 줄임말이라면 손사래치는 분이 많은데, 나서서 줄임말을 만들겠다니 말이다. 줄임말 문화를 못마땅해 하는 사람들은 그 말뜻을 바로 알아채기 어려운 상태에서 대화가 진행되다 보니 우선 소통이 어렵고 그 다음엔.. 2023. 5. 26.
한글 아리아리 927 새 창으로 보기 한글 아리아리 927 2023년 5월 26일 2023년 5월 26일, 우리말 소식 📢 1. 우리말가꿈이 푸른 4기를 모집합니다! 2. 대학생 기자단 10기 두 번째 모임/2023.05.20 (토) 3.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꽃에게 묻다' 4. 국가보훈처에 '홈페이지'대신 쉬운 우리말 쓰기를 요청했습니다. 5. 우리말 이야기 6. 대학생 기자단 9기 기사 - 권나현, 김민 기자 👼우리말가꿈이 푸른 4기를 모집합니다!👼 한글문화연대 '우리말가꿈이 푸른 4기'를 모집합니다. - 틀리기 쉬운 맞춤법, 어디서 배워야 하지? - 친구들과 함께 학교 공간 이름을 바꿀 수도 있다고? - 어떤 활동이든! 청소년 언어문화 개선을 위한 창의력을 뽐내보세요! - 자율 동아리 활동을 나.. 2023. 5. 26.
이건범 대표, 우리말 강연 활동/경남인재개발원 진주 경남인재개발원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과정 주제: 공문서 쓰기와 이해 - 국어기본법을 중심으로 ▶ 때: 2023년 5월 18일(목) 낮 1시 ▶ 곳: 경상남도 인재개발원 403호 ▶ 강연자: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 강연 방식: 온라인 줌(ZOOM) 회의 2023. 5. 25.
[우리말 비타민] 세상 모든 남자와 키스하고 싶다 2023년 5월 24일 정재환의 우리말 비타민 ▶세상 모든 남자와 키스하고 싶다 [박재역의 맛있는 우리말] 담배와 전차 2023. 5. 24.
대학생 기자단 10기 두 번째 모임/2023.05.20 (토) 지난 5월 20일, 대학생 기자단 10기가 두 번째 모임을 했습니다. 오전에는 세종 나신 날 행사 이야기를 나누고 '우리 말글 바로쓰기' 특강을 듣고, 오후에는 기사 작성 교육과 '기사란 무엇인가' 특강을 들었습니다. 본격 강의에 앞서 김명진 부대표와 대학생 기자단은 지난 5월 13일에 활동한 세종 나신 날 행사와 한글 박물관 견학에 관한 이야기로 꽃을 피웠습니다. 첫 번째 특강은 한글학회 성기지 연구편찬실장님의 강의였습니다. 이번 특강에서는 대학생 기자단 10기에게 헷갈리기 쉬운 맞춤법을 알려주시며 기자단 여러분이 주의해야 할 글쓰기 방식을 함께 설명해 주셨습니다. 조남주 선생님이 진행한 기사 작성 교육은 대학생 기자단 여러분이 작성한 5월 기사의 발췌문을 첨삭해 보는 시간으로 진행됐습니다. 두 번째 .. 2023. 5. 23.
[주간한국] [한글의 권리]지자체 보도자료에 무분별한 외국어 남용 '심각' - 2023.05.22 ‘Beer & Non-Alcohol Beer sharing, 정원테라피 등의 활동을 한다.’, ’Tea Party, 드로잉 체험 등을 할 수 있다.‘ 지난해 10월 전남 순천시가 배포한 ‘개방정원과 연계한 열린정원 여행 프로그램 운영’이라는 보도자료의 일부 내용이다. 해당 자료를 살펴보면 ‘정원 테라피’나 ‘드로잉 체험’같은 외래어와 한국어를 접목시켜 표기한 부분은 오히려 나은 편이다. 아예 한글 표기 없이 영문만 버젓이 실려 있는 대목도 있다. 영어를 잘 모르는 이들은 해석 자체가 불가능하다. (중략)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는 지난해 8월 지방선거 이후 새 지자체장 취임을 전후한 2개월간 광역자치단체의 보도자료에서 외국어 용어와 외국 글자 표기가 얼마나 사용됐는지 분석했다. 전체 17개 광역자치단체를 대.. 2023. 5. 23.
[우리말 비타민] 동백이 아니다 2023년 5월 18일 ▶동백이 아니다 우리말산책 강원도 '동백꽃'은 '생강나무꽃'이다 2023. 5. 22.
626돌 세종대왕 나신 날 큰잔치에 참석했습니다. -2023.05.15 2023년 5월 15일 월요일, 청와대 사랑채에서 세종대왕의 여민락 행사가 진행되었습니다. 세종대왕기념사업회가 주최한 이번 행사는 626돌 겨레의 스승 세종대왕 나신 날을 기념하여 백성과 함께 즐거움을 나누고자 했던 세종 정신을 음악으로 축하하는 자리였습니다, 한글문화연대 정재환 공동대표와 이광연 위원은 이번 행사에서 사회와 진행을 맡아 분위기를 띄웠습니다. 행사는 ▲늘푸른 자연학교의 '가나다같이' ▲장사익의 '산넘어 저쪽', '봄날은 간다' ▲여민락 음악(봄-1악장 궁의 뜨락 여름-2악장 곤궁한 허수아비 가을-3악장 풍요의 들판 겨울-4악장 풍경소리)순으로 진행됐습니다. 한편, '여민락'은 '백성과 함께한다'는 내용의 교향곡으로 세종대왕이 쓴 음악입니다. 2023. 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