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영어상용도시 정책, 부산시민 반대 41%, 찬성 28%
-영어마을 추가 설립 반대 59%, 예산 낭비 우려
-표지판 등 주변 환경에 영어 안내 늘리면 ‘불편’ 58%
-공문서에 영어 사용 늘리면 ‘불편’ 65%
-영어상용도시 실현 가능성에 부정적 47%, 긍정적 29%
-우리 문화와 한류 발전 저해한다 51%, 그렇지 않다 24%
‘영어상용도시 부산’ 정책에 부산시민들은 반대한다는 의견이 월등히 높았다. 한글문화연대와 한글학회 등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티앤오코리아에 의뢰하여 부산시민 만18~69세의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벌인 결과, ‘영어상용도시 부산’이라는 정책에 대해 시민 응답에서 ‘반대’가 40.9%, ‘찬성’이 27.6%로 나와, 반대 의견이 찬성 의견의 1.5배였다. 40대 이하의 젊은 층에서 반대 의견이 높고, 50대 이상에서 찬성 의견이 높았는데, 이는 연령이 높을수록 시의 정책에 긍정적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부산시에서 내세운 영어상용도시 4대 전략 가운데 ‘공공부문이 선도하는 영어상용도시’ 전략에 따라 공문서와 정책 및 행사 이름 등에 영어가 많이 쓰이면 ‘불편하다’는 응답이 65.4%로 압도적이었다. 또한 ‘영어상용도시 인프라와 환경 조성’ 전략에 따라 시내의 안내표지판이나 공공시설 이름 표기 등 영어 환경을 많이 조성하면 ‘불편하다’라는 의견이 57.6%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사업이 실행된다면 시민의 기본적인 알 권리를 침해할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현재 부전동에 있는 영어마을 ‘글로벌빌리지’를 다른 곳에 추가 건립하는 것에 대해서 ‘반대’ 58.9%, ‘찬성’ 25.0%로 반대 의견이 찬성 의견보다 월등히 높았다. 이미 경기도 등 다른 지역에서 실패한 사업이라 이를 답습하여 영어마을을 추가로 설립하는 것은 예산 낭비에 그칠 뿐이라고 보는 시민들의 우려가 컸다.
학생과 시민의 영어교육을 지원하고 영어 사용 환경을 조성한다고 해도 2030년까지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영어를 사용할 수 있는 영어상용도시를 만드는 일은 비현실적이라는 견해가 우세하였다. 무엇보다도 영어를 사용할 일이 없고, 영어를 꾸준히 공부할 시간과 필요가 없는 현실을 시민들은 직시하는 편이었다.
2030년 세계박람회를 유치하게 될 때, 외국인과 원활하게 소통하기 위해서는 ‘영어 자원봉사자의 모집과 교육’, ‘인공지능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 ‘영어 전문 통역자 및 번역자 양성’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아 전문분야에 집중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반응이었다. 부산시가 내세운 영어상용도시 전략 가운데 ‘시민 영어 역량 강화’ 전략이 2030 세계박람회에 대비하는 방안으로서는 적절하지 않다고 보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영어상용도시 부산’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평가는 반대의견이 월등하게 높았다.
‘글로벌빌리지’ 추가 건립과 ‘영어교육 거점 공간 기반시설 구축’을 통해 시민들의 영어교육을 독려한다고 해도 일상에서 영어를 쓸 일이 많지 않은 우리의 상황에서 영어상용화 자체가 불가능하고, 오히려 예산 낭비가 클 것으로 시민들은 판단하고 있다. 특히, ‘안내판 등 공공시설물 영어 표기 강화’ 및 ‘공문서 등의 영어 용어 사용 강화’는 시민들의 일상을 불편하게 하여 기본권을 침해할 우려가 크므로 정책을 강제로 집행하면 시민의 불만이 터져 나올 것으로 보인다.
‘영어상용도시 부산’ 정책은 시민의 영어 역량이 어떤 경로와 방법을 거쳐 높아질 수 있는지, 단일언어 한국어가 공용어인 나라에서 영어 능력을 강조하는 정책이 영어 취약자들에게 어떠한 상처와 절망감을 안겨줄지, 시민의 알 권리는 어떻게 보장되어야 하는지 고려하지 않고 나온 ‘정치적 기획’이라는 평가를 넘어서기 어려울 것 같다.
전체 설문 문항과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영어 상용도시 추진정책’에 대한 시민 의견
‘부산시의 영어상용도시 추진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의견은 반대 40.9%(적극 반대 15.1%, 반대 25.8%), 찬성 27.6%(적극 찬성 3.9%, 찬성 23.7%)로 반대의견이 찬성 의견보다 높게 나타났다.
- ’안내표지판 등 공공시설물 영어 표기 강화’에 대한 유용성 응답
‘불편할 것이다’ 57.6%, ‘편할 것이다’ 25.2%로, 표지판, 공공시설물, 대중교통, 일반생활시설에 영어가 늘어나면 시민들의 불편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 ‘공문서 등의 영어 용어 사용 강화’에 대한 유용성 응답
‘불편할 것이다’ 65.4%, ‘편할 것이다’ 21.0%로, 시민들의 공공기관 이용 시 행정지원 및 시설 이용에 큰 불편을 초래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 영어마을 ‘글로벌빌리지 추가설립’에 대한 여론
추가 건립하는 것에 대해서 ‘반대’ 58.9%, ‘찬성’ 25.0%로 타 지역의 실패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 추진해도 기대효과 대비 설립추가에 따른 예산 낭비라는 시민들의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박람회 개최 시 영어 소통환경 개선 방법’에 대한 여론(복수 응답)
‘영어 봉사자 모집과 교육’ 55.4%, ‘인공지능 기반의 통역 소프트웨어 개발’ 45.4%, ‘영어 전문 통역자, 번역자 양성’ 33.7% 순으로 나타나 국제적 행사에서 영어 소통을 원활하게 지원하는 것은 ‘전문분야 지원 및 전문가양성’이 우선이라고 보았다. ‘시민의 영어 실력 향상’이라고 답한 비율은 25.5%에 불과하여, 부산시의 정책 목표와 시민들의 호응 가능성 사이에 엄청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시민의 영어 교육으로 2030년까지 영어상용도시화’ 가능성에 대한 평가
학생과 시민의 영어교육지원으로 영어환경을 조성하면 시민의 영어 실력이 향상되어 ‘시민이 자연스럽게 영어를 사용하는 도시’가 될 것인가에 대해 ‘그렇지 않다’ 46.7%, ‘그렇다’ 29.2%로 일상에서 영어를 쓸 일이 없는 상황에서 시민들의 기대는 낮게 나타났다.
- ‘영어상용도시 정책이 한류발전 저해라는 지적’에 대한 공감 여부
부산시의 ‘영어상용도시 정책’이 우리말과 한글의 사용을 제한하여 우리 문화와 한류 발전을 막는다는 비판에 대해 ‘공감한다’ 50.8%, ‘비공감‘ 23.8%로 최근 큰 성과를 보이고 있는 한류 발전을 저해할 위험이 있음을 우려하였다.
- ‘영어교육 거점공간 이용 의향’에 대한 응답
‘이용할 의향이 있다’ 41.8%, ‘이용할 의향이 없다’ 32.2%로 ‘직장인’들 중심으로 잠재의식 속 영어학습에 대한 기본욕구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하지만 이것으로 일상에서 영어를 사용할 일이 별로 없는 일반 시민들의 영어실력 향상을 기대하는 것은 거리가 있어 보인다.
- ‘영어방송과 영어신문 활성화 시 구독 의향’에 대한 응답
부산시에서 영어방송과 영어신문을 활성화할 경우 ‘이용할 의향이 있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37.2%, ‘이용할 의향이 없다’라는 응답 비율은 40.4%로 이용 의향이 낮게 나타났다. ‘이용 의향이 있다’라는 응답은 연령별로는 50대에서 가장 높으며, 직업별로는 전업주부 외에 특히 공무원, 자유직, 사무직, 기술직 등에서 높아 주로 업무와 관련하여 영어학습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시민이 진단하는 우리 국민의 영어 실력이 부족한 이유’에 대한 응답(복수 응답)
우리나라 국민의 영어 실력이 좋지 않은 것에 대한 이유로 ‘영어 쓸 일이 별로 없어서’라고 평가하는 응답이 56.4%로 나타났으며, 현실적으로 일상에서의 영어 사용 필요성이 없어 ‘시민들의 영어 상용’을 실현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가까운 곳에 영어 교육기관이 없어서’라는 응답은 8%로 나타났다. 이는 영어 교육기관의 존재가 영어 습득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님을 가리킨다 하겠다.
끝.
* 설문 조사 결과보고서 자세히 보기
'자료실 > 보도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도자료] 로마자 약칭에 대응할 우리말 약칭 만드는 학술대회 연다. (0) | 2022.12.01 |
---|---|
[보도자료] 2022년 우리말 사랑꾼에 울산광역시, 중소벤처기업부, 박은주, 홍성진, 우리말 해침꾼에는 부산시장 박형준과 부산시교육감 하윤수 뽑혀 (0) | 2022.10.06 |
[보도자료] 발코니, 알파룸, 우리말 이름을 지어주세요. (0) | 2022.09.22 |
[보도자료] 17개 광역자치단체장 교체 전후 외국어 남용 분석 (0) | 2022.08.25 |
[보도자료] 부산 영어상용도시 정책에 반대하는 목소리 높다. (0) | 2022.08.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