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581

[누리방송5-24] 아리아리특강: 훈민정음 해례본(9) 초성해,중성해,종성해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우리말 아리아리 다섯째 타래 24회] ▶ 아리아리특강: 훈민정음 해례본(9) - 훈민정음 해례본의 초성해,중성해,종성해 훈민정음학 대가 김슬옹 박사가 쉽게 풀어주는 훈민정음 해례본 특강. 1940년에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을 통해 알게된 세종의 한글 창제 정신과 과학적 원리를 찾아간다. 해례본을 우리말로 푼 언해본에 얽힌 사연과 조선 시대에 한글을 어떻게 대우했는지도 흥미롭다.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매주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에 찾아 뵙겠습니다. 수요일: 돌비의 , 리창수의 금요일: 아리아리 특강-김슬옹 교수의 월요일: 재밌.. 2018. 9. 28.
한자를 뒤섞은 ‘한국’ 신문, 이래도 되나요?-박다영 기자 한자를 뒤섞은 ‘한국’ 신문, 이래도 되나요?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5기 박다영 기자 ghj38070@nate.com ‘특사단, 김정은 만나 '經協 친서' 전달’ 9월 6일 조선일보 1면에 실린 기사 중 하나의 제목이다. 한글로 풀어 쓰면 ‘특사단, 김정은 만나 '경제협력 친서' 전달’이다. 그러나 풀어쓰기 전의 제목을 본 사람들 가운데 일부는 ‘經協’이 무엇을 뜻하는지 쉽게 파악할 수 없다. 한글이 아닌 어려운 한자가 쓰였기 때문이다. ‘經協’의 ‘지날 경/글 경(經)’과 ‘화합할 협(協)’의 난이도는 둘 다 한자 급수 읽기 4급의 2(II), 쓰기 3급의 2(II)이다. 8급부터 시작하는 한자 급수에서 읽기로는 7단계, 쓰기로는 9단계나 높아 한자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겐 매우 어려운 한자다. .. 2018. 9. 27.
[알림] 순우리말 손글씨 해시태그 우리말 가꿈이에서 행사를 준비했답니다! 바로바로! 입니다. ❤참여 기간 :9월 24일(월) 지금 이 순간~ 9월 30일(일) 낮 12시 ❤선정자 발표 및 손글씨 게시 : 9월 30일(일) 늦은 6시 선정되신 분의 손글씨는 페이스북 우리말가꿈이 페이지에 게시됩니다! 참여방법은 https://www.facebook.com/urimalgakkumi/ 2018. 9. 27.
[누리방송5-23] 아리아리특강: 훈민정음 해례본(8) (정음 해례본 중 제자해5-제자해 대단원 마무리) 문어발, 돌비, 재밌게가 함께하는 세계 유일 우리말 전문 누리방송 [우리말 아리아리 다섯째 타래 23회] ▶ 아리아리특강: 훈민정음 해례본(8) - 훈민정음 해례본의 정음 해례본 중 제자해5-제자해 대단원 마무리 훈민정음학 대가 김슬옹 박사가 쉽게 풀어주는 훈민정음 해례본 특강. 1940년에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을 통해 알게된 세종의 한글 창제 정신과 과학적 원리를 찾아간다. 해례본을 우리말로 푼 언해본에 얽힌 사연과 조선 시대에 한글을 어떻게 대우했는지도 흥미롭다. ▷ 출연: 문어발(이건범), 재밌게(김명진), 돌비(정인환) ▷ 제작: 한글문화연대 국어문화원 ▷ 누리집: www.urimal.org 매주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에 찾아 뵙겠습니다. 수요일: 돌비의 , 리창수의 금요일: 아리아리 특강-김.. 2018. 9. 21.
한글날 톺아보기-박찬미 기자 한글날 톺아보기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5기 박찬미 기자chaanmii@naver.com 10월 9일은 한글날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한글날이 정확히 무엇을 기념하는지 알고 있는 경우가 드물다. 주변에 물어본 결과, 한글날을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드신 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착각하기 쉽지만, 한글날은 정확히 ‘훈민정음을 반포한 날’을 기리는 날이다. 한글날의 역사 한글날의 처음 명칭은 ‘가갸날’이었다. 가갸날은 조선어연구회가 1926년 11월 4일, 훈민정음 반포 480년을 기념해 만들었다. 매년 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로 정하고 서울 식도원에서 기념식을 열었으며 1928년에 그 명칭을 ‘한글날’로 바꾸게 됐다. 한편 한글날이 양력 10월 9일로 확정된 시기는 1940년부터다. 그 해에.. 2018. 9. 19.
[보도자료] 세종 즉위 600주년 기념, 광화문에 업적 전시 올 9월 19일, 세종대왕 즉위 600주년 한글문화연대, 광화문 세종 동상 주위에 업적 전시 세종대왕 11대 업적 우리말과 영어로 풀어 2018년 9월 19일은 조선의 4대 임금 세종께서 임금 자리에 오른 지 600년이 되는 날이다. 음력으로는 1418년 8월 10일이다. 임금에 오른 세종은 1443년에 한글을 창제하였고, 1446년에 반포하였으며, 1450년 2월 17일에 세상을 뜨셨다.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에서는 세종 즉위 600주년을 기념하여 9월 19일부터 10월 9일까지 광화문 세종대왕 동상을 에워싸고 세종의 대표 업적을 전시한다. 한글, 인쇄, 교육, 음악, 의료, 소통, 복지, 지리, 국방, 농업, 과학 등 11개 분야로 세종의 업적을 정리하여 설명과 함께 관련 자료를 보여준다.. 2018. 9. 18.
우리말 가꿈이 15기 오름마당과 모꼬지 2018년 9월 5일 토요일 아침 9시, 서울 서교동 '청년문화공간제이유동교동' 3층 바실리오홀에서 우리말 가꿈이 15기 오름마당이 열렸습니다. 서류와 면접 심사를 거쳐 당당히 '우리말 가꿈이 15기'로 뽑힌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사는 대학생 90여 명이 강당을 가득 채웠습니다. 오름마당 행사에서는 지난기수 활동 영상 시청, 한글문화연대 대표의 환영 인사, 축하 영상, 우리말사랑 다짐, 우리말 사랑 강연이 있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권수진 국어정책과장, 문화방송 김나진 아나운서, 와이티엔 이광연 기자 등이 15기 합격을 축하하고 앞으로의 활동을 응원했습니다. 이날 행사에서는 우리말 가꿈이 7,8,9기로 활동했던 정인천 선배가 '나는 왜 우리말 가꿈이를 3번이나 했을까요?' 라는 주제로 강연을 해주었.. 2018. 9. 5.
[알림]우리말 가꿈이 15기 면접날 아름다운 우리말과 글을 지키고 가꾸는 수호천사, 우리말 가꿈이!! 우리말 가꿈이는 우리말과 한글을 지키고 가꾸는 활동을 통해 우리의 정체성을 지키고 문화를 보전하며, 약자와 소수자를 배려하는 언어문화 환경을 만들어 가는 일을 합니다. 지난 8월 17일(금)부터 8월 26일(일)까지 우리말 가꿈이 15기 모집을 하였고, 1차 서류 접수를 거쳐 8월 28일(화)~8월 30일(목)까지 3일 동안, 한글 학회에서 면접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면접에서 뽑힌 우리말 가꿈이 15기는 9월부터 약 4개월 동안 활동하게 됩니다. 2018. 8. 28.
‘Sarang’은 한국어, ‘러브’는 한글-강아현 기자 ‘Sarang’은 한국어, ‘러브’는 한글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5기 강아현 기자 rkddkgus6223@naver.com 위 문제의 정답은 2번 외국어 노래 가사 독음이다. 나머지는 우리말, 즉 ‘한국어’와 더욱 관련 있다.(아래는 우리말을 ‘한국어’로 지칭하기로 한다.) 여러분은 답을 쉽게 알 수 있었는가? 아마 쉬웠던 사람도, 헷갈렸던 사람도 있었을 것이다. 한글과 한국어, 당신은 헷갈리지 않는가? 해마다 한글날에는 외래어나 한자어를 뺀 순우리말을 찾는다는 목소리가 되풀이된다. 인터넷에서 ‘한글 파괴’만 검색해도 기사들이 수두룩하게 나오는 것만 봐도 그렇다. 생소한 외국어와 외래어의 사용이 세종대왕의 애민의식을 파괴하기에 순우리말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글날은 ‘한국어’날이 아니다... 2018. 8.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