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1440 [누리방송] 그러니까 말이야 9회- 안전하지 않은 재난용어 우리 말글을 주제로 꾸려지는 누리방송(팟캐스트)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가 9번째 방송을 2014년 8월 26일(화) 공개했다.▣ 방송 들으러 바로 가기 >> http://www.podbbang.com/ch/7823 알아두면 좋은 우리말과 바꾸고 싶은 말재밌게의 "아하 그렇구나"에서는 '시키다' 의 사용에 대한 방법을 알아보고, 돌비의 "바꿔볼까요"에서는 국어기본법을 지키지 않는 국가 행사를 지적했다. 우리말 비빔밥- 안전하지 않는 재난용어재난상황에 대한 보도와 지침(메뉴얼)에서 사용된 재난 관련 말을 살펴본다.뜻 모를 영어약자와 쓰지 않는 한자말이 얼마나 많은지 그 문제점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그러니까 말이야" 듣는 방법1. 팟빵(podbbang.com) 에 접속하여 '그러니까 말이야' 로 검색.. 2014. 8. 26. [누리방송] 그러니까 말이야 8회 말 문화에 대한 대학생의 생각을 알아본다. 우리 말글을 주제로 꾸려지는 누리방송(팟캐스트)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가 8번째 방송을 2014년 8월 19일(화) 공개했다. 이번 방송은 대학생연합동아리 우리말 가꿈이 7기 모꼬지 에서 진행되었습니다. ▣ 방송 들으러 바로 가기 >> http://www.podbbang.com/ch/7823 공개방송-말 문화에 대한 대학생들의 생각을 알아본다우리말 가꿈이 모꼬지에 참여한 130명의 가꿈이들과 말 문화에 대한 대학생들의 생각을 나누었다.우리말 가꿈이에 대한 소개를 시작으로 청소년 욕설과 줄임말에 대한 생각을 어른들의 입장과 청소년기를 경험한 대학생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하였고, 토익과 토플시험과 한국어능력시험에 대한 각각의 생각도 풀어보았다. "그러니까 말이야" 듣는 방법1. 팟빵(podbbang.c.. 2014. 8. 19. [알림]8월 알음알음 강좌-수강 신청-표현의 자유와 증오 표현(8/26) ■ 때: 2014년 8월 26일(화) 7시 30분 ■ 곳: 공간 활짝 (서울 마포구 도화동 536번지 정우빌딩 304호, 마포역 2번 출구 또는 공덕역 1번 출구) ■ 주제: 표현의 자유와 증오 표현 ■ 강사: 이재승(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수강료: 1만 원(단, 한글문화연대 정회원과 대학생 이하 청소년에게는 공짜) 로드 중... 2014. 8. 14. [누리방송] 그러니까 말이야7회 한국인이 궁금해하는 한국어--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 이수연 선생 우리 말글을 주제로 꾸려지는 누리방송(팟캐스트)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가 7번째 방송을 2014년 8월 11일(화) 공개했다. ▣ 방송 들으러 바로 가기 >> http://www.podbbang.com/ch/7823 알아두면 좋은 우리말과 바꾸고 싶은 말 재밌게의 "아하 그렇구나"에서는 '잘 못 쓰고 있는 단위' 의 말을 알아보고, 돌비의 "바꿔볼까요"에서는 주는 사람도 기분좋고 받는 사람도 좋은 상의 이름을 '으뜸, 버금, 보람' 으로 부르는것에 대해서 이야기를 전한다. 한국인이 궁금해하는 한국말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 이수연 선생과 함께 한국인이 궁금해 하는 한국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온라인 가나다에 가장 많이 질문되고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그 답을 하는 과정과 뒷이야기를 들어보았다. .. 2014. 8. 12. [누리방송]그러니까 말이야 6회 국어사전에 대한 미신 다섯가지 우리 말글을 주제로 꾸려지는 누리방송(팟캐스트)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가 6번째 방송을 2014년 8월 5일(화) 공개했다.▣ 방송 들으러 바로 가기 >> http://www.podbbang.com/ch/7823 알아두면 좋은 우리말과 바꾸고 싶은 말재밌게의 "아하 그렇구나"에서는 '우리몸을 가리키는 우리말' 의 말을 알아보고, 돌비의 "바꿔볼까요"에서는 더운 여름을 시원하게 보내기 위한 '시원차림'에 대해서 이야기를 전한다. 국어사전에 대한 미신 다섯가지국립국어원 어문연구과 이승재과장과 함께 국어사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표준국어대사전의 제작과정에서 있었던 이야기와 2016년 공개를 목표로 준비하고 있는 개방형 한국어 지식대사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러니까 말이야" 듣는 방법1. 팟.. 2014. 8. 5. [누리방송]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5회- 한글문화연대 이야기 우리 말글을 주제로 꾸려지는 누리방송(팟캐스트)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가 5번째 방송을 2014년 7월 29일(화) 공개했다.▣ 방송 들으러 바로 가기 >> http://www.podbbang.com/ch/7823 알아두면 좋은 우리말과 바꾸고 싶은 말재밌게의 "아하 그렇구나"에서는 '변변하다', '칠칠하다' 의 말 뜻을 알아보고, 돌비의 "바꿔볼까요"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은 알지만, 엄마와 아빠는 모르는 말에 대해서 이야기를 전한다. 김영명 교수에게 들어보는 한글문화연대 이야기한글문화연대의 창립자인 김영명 교수(한림대 정치행정학과)에게 한글문화연대의 창설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본다. "그러니까 말이야" 듣는 방법1. 팟빵(podbbang.com) 에 접속하여 '그러니까 말이야' 로 검색한다.2. .. 2014. 7. 29. [마침]7월 알음알음 강좌-참교육에서 참배움으로/김두루한(사진) [7월 알음알음 강좌]참교육에서 참배움으로 ■ 강사: 김두루한(경일고 교사, 문학박사) ■ 때: 2014년 7월 28일(월) 저녁 7시 30분 ■ 곳: 공간 활짝(마포역 2번 출구 또는 공덕역 1번 출구) 2014. 7. 29. [누리방송]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 4회- 조선어학회 이야기 수많은 누리방송(팟캐스트) 중에서 유일하게 우리말과 우리글을 주제로 하는 "그러니까 말이야" 가 4번째 방송을 2014년 7월 22일 공개했다. ▣ 방송 들으러 바로 가기 >> http://www.podbbang.com/ch/7823 알아두면 좋은 우리말과 바꾸고 싶은 말재밌게의 "아하 그렇구나"에서 더위와 연결된 우리말을 살펴보면서 그 속에 숨어 있는 뜻을 알아보았다. 돌비의 "바꿔볼까요"에서 많은 사람이 매일 사용하는 통신수단인 휴대전화를 어떻게 부르면 좋을지 고민을 나눈다. 초대손님 리의도 교수(춘천교대)와 함께하는 3번째 시간주시경 선생 이후에 이극로 선생을 중심으로 우리말 사전을 만든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고 역사의 흐름속에서 조선어학회가 그 이름을 한글학회로 바꾼 이유에 대해서도 전하였다. .. 2014. 7. 22. [알림]7월 알음알음 강좌-수강 신청-참교육에서 참배움으로, 좋은 세상을 가꾸는 열쇠 한글문화연대가 7월 알음알음 강좌로 "참배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많이 관심가져주세요. 고맙습니다. ■ 주제: 참교육에서 참배움으로 -좋은 세상을 가꾸는 열쇠 ■ 강사: 김두루한(참배움학교연구회장, 경일고 교사, 문학박사) ■ 내용 - '국어'와 '근대 식민 교육'의 틀 이야기 - 참 좋은 세상을 가꾸는 열쇠, 참배움 ■ 때/곳: 2014년 7월 28일(월) 저녁 7시 30분, 공간 활짝(마포역 또는 공덕역) ■ 수강료: 1만 원(단, 한글문화연대 정회원과 대학생 이하 학생은 공짜!) 7월 알음알음 강좌 2014. 7. 15. 이전 1 ···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