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2501 전례 없는 새로운 붓과 물감, 한글의 자음과 모음 - 정희섭 기자 전례 없는 새로운 붓과 물감, 한글의 자음과 모음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정희섭 기자 jheesup3@naver.com 2015년 2월 2일 오후 국회본회의장서 열린 제 331회 국회(임시회)는 이전과 달랐다. 국회가 상징 문양을 바꾸었다는 것이다(아래 그림 참조). 국민의 대표 기관인 국회를 상징하는 국회기, 국회의원 배지 등의 문양이 한자 ‘國’으로 되어있어 한글을 주로 사용하는 현실에 맞지 않고, 기존 국회의원 배지 안의 ‘國(국)자가 或(혹)자로 오인될 수 있다’는 지적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또한, 공공기관 등의 공문서는 한글로 작성하여야 한다는 국어기본법을 존중하는 취지를 반영하여 변경했다는 것이 국회의 설명이다. 나라의 살림을 전반적으로 담당하는 국회가 드디어 국민의 시선으로 국정을.. 2016. 7. 28. 외국 로고의 한글화 실현, 김나훔 작가를 만나다! - 한주예슬 기자 외국 로고의 한글화 실현, 김나훔 작가를 만나다!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한주예슬 기자 yeseuli8103@naver.com 지난 7월 18일, 디자인 정글이라는 페이스북 페이지에 어느 한 게시글이 ‘좋아요’ 4,706개와 ‘공유’ 784회의 기록을 남기며 폭발적인 인기를 끕니다. 어떤 게시글인지 확인해 보니 여러 장의 로고 사진들이 있습니다. 이미 우리들에게 친숙한 외국 브랜드 로고들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하지만 바로 약간의 어색함을 느끼게 되는데, 바로 외국 브랜드 로고를 한글화한 것입니다. 문득, 외국 로고를 한글로 바꾸면 어떨까 생각을 가끔 떠올렸을지 몰라도, 막상 이렇게 실제로 만든 로고 이미지를 보니 상상했던 것보다 더욱 익살스럽고 재밌습니다. 인사동에 있는 전통문화의 거리에 걸려있.. 2016. 7. 28. 모지랑이와 바람만바람만 [아, 그 말이 그렇구나-146] 성기지 운영위원 모지랑이와 바람만바람만 우리가 어려운 한자말을 앞세워 으스대고 영어를 숭배하는 말글살이를 하는 동안, 안타깝게도 나날살이에서 거의 자취를 감추거나 이미 낯설게 돼버린 우리 토박이말들이 많아졌다. 그 가운데는 꼭 붙잡고 싶은 아름다운 말들도 헤아릴 수 없이 많다. ‘모지랑이’와 ‘바람만바람만’도 결코 잃어버릴 수 없는 순 우리말이다. 한복 저고리 치맛단을 끌고 다니다 보면 끝이 닳아서 없어질 수가 있다. 땅에 끌리도록 길게 입는 청바지도 마찬가지다. 또, 교실 책상을 오랫동안 쓰다 보면 네 귀퉁이가 닳아서 뭉툭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어떤 물체의 끝 부분이 닳아서 없어지다”는 뜻으로 쓰이는 우리말이 바로 ‘모지라지다’이다. 붓글씨를 오래 쓰면 붓끝이 .. 2016. 7. 28. ‘급식체’를 아시나요? - 간형우 기자 ‘급식체’를 아시나요?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간형우 기자 hyeongwookan@gmail.com 최근 ‘급식체’ 혹은 ‘휴먼급식체’라고 불리는 말투가 10대와 20대 사이에서 자주 쓰이고 있다. 주로 인터넷에서 쓰는 말투인데, 다른 인터넷 용어들과 마찬가지로 처음 듣는 사람에게는 그 뜻을 추측하기조차 어렵다. 급식체’는 여러 종류의 형태를 띤다 (사진1). 말의 초성만 딴 형태, 말을 짧게 줄여서 간단하게 표현한 형태, 그리고 외국어를 소리 나는 대로 줄여서 쓴 형태가 대표적이다. 그중 가장 많이 쓰이는 “ㅇㅈ? ㅇㅇㅈ”이라는 표현은 “인정? 응, 인정”의 줄임말이다. 단어 그대로 본인의 주장이나 어떤 상황을 인정할 수 밖에 없다는 의미를 지닌다. 급식체는 대부분 앞의 예와 같은 초성, 은어.. 2016. 7. 28. 그림처럼 예쁜 한글의 형태적인 아름다움 - 이지은 기자 그림처럼 예쁜 한글의 형태적인 아름다움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3기 이지은 기자 freeloves84@hanmail.net 2015년 개봉한 ‘어벤져스 2’가 한국을 무대로 하고 있어 인터넷상에서 큰 화제가 되었던 적이 있었다. ‘어벤져스 2’의 주인공들은 여러 한글 간판들을 배경으로 결투를 벌였다. 전 세계의 영화관 화면에 한글이 나타났다. 한국이 배경이 된 할리우드 영화는 ‘어벤져스 2’가 처음이 아니다. 13년 개봉한 워쇼스키 자매 감독의 영화 ‘클라우드 아틀라스’에서는 ‘네오 서울’이라는 이름의 미래의 서울이 무대가 되었다. 네오 서울 속의 수많은 한글 간판들이 그대로 영화에 담기고 등장인물들은 화면 앞에서 ‘비누’를 마셨다. 영화관에서 한글을 처음 접한 외국인들에게 한글은 생소하지만, 매력 있.. 2016. 7. 28. 광장문화의 역사로 보는 우리말과 한글 - 한주예슬 기자 광장문화의 역사로 보는 우리말과 한글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한주예슬 기자 yeseuli8103@naver.com 이 기사를 접하는 분들은 “주제가 우리말과 한글인데 웬 광장문화?”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이번에 준비한 ‘광장문화’라는 둘째 기사 주제는 아이러니하게도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으로서 처음 썼던 ‘세종대왕’ 기사를 준비하면서 알게 됐다. 미술을 전공한 나는 자연스럽게 한.불 130주년을 기념해 프랑스 디자이너의 설치미술을 입은 세종대왕상에 주목했고, 이 세종대왕상이 있는 광화문 광장이 2008년 6월 광화문 촛불시위 이후 세종로에 본격적으로 들어서게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광장만의 역사가 있었고, 더 나아가 '광장 권력'이라는 단어를 접하게 됐다. 어느 석사 논문이었는데, 서.. 2016. 7. 27. 세종의 마음 이해하기 - 정희섭 기자 세종의 마음 이해하기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정희섭 기자 jheesup3@naver.com 세종이 한글을 창제하고 반포할 15세기 당시 그의 심정은 어떠했을까? 조선시대 기득권층(당시 양반 혹은 사대부)들은 백성들이 문자를 아는 것을 원치 않았다. 백성들이 당대 기득권층에서 통용되던 문자인 ‘한자’를 아는 것은 책을 포함한 모든 문자로 된 것을 읽을 줄 안다는 뜻이었다. 무언가를 읽을 줄 안다는 것은 책을 통해 사물이나 현상의 이치를 깨닫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정책의 불합리함과 공평하지 못한 부분을 백성들이 깨달을 수 있는 빌미를 제공하고 국가 권력에 대항할 가능성을 내포한다고 그들은 생각했던 것이다. 2011년 24부작으로 제작되어 시청률 25.4%(닐슨코리아 제공)라는 .. 2016. 7. 27. 정보통신(IT) 시대에 더욱 대두되는 한글의 우수성 - 서지윤 기자 정보통신(IT) 시대에 더욱 대두되는 한글의 우수성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서지윤 기자 97sjy2016@naver.com 한글이 반포된 지는 500여 년이 지났다. 많은 사람이 한글의 우수성에 감탄하지만, 현대까지 이르러 한국이 정보통신(IT) 시대의 강국이 되는 것에 그 우수성이 도움을 주었다는 사실은 간과한다. 2016년 대한민국의 거의 모든 사람이 스마트폰이라는 전화기를 사용한다. 그리고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기 이전 각 가정에 컴퓨터가 보급되어 거의 매일 자판을 치며 업무를 수행했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할 당시에 이미 21세기 대한민국이 정보통신 강국이 될 것을 예견하기라도 했듯이 컴퓨터 자판이나 전화기 자판에서 한글을 조합하여 모든 글자를 만들어내고 있다. 현재 휴대전화기의 자판 입력.. 2016. 7. 27. 뉴스전문채널 와이티엔(YTN) 방송국에 가는 날 - 이민재 기자 뉴스전문채널 와이티엔(YTN) 방송국에 가는 날 한글문화연대 대학생기자단 3기 이민재 기자 2942207@naver.com 기승을 부리던 장마가 잠시 주춤해졌는지 오랜만에 날씨가 좋다. 오늘은 한글문화연대에서 대학생기자단 자격으로 와이티엔(YTN) 방송국을 견학하는 날이다. 아직 방송국을 한 번도 가본 적이 없어 설렘이 가득하다. 사는 곳이 인천이라 방송국이 있는 디지털미디어시티역까지는 가는 시간이 제법 걸린다. 나름 일찍 나왔다고 생각했는데 조금 늦었나 보다. 지난번 한글문화연대 모꼬지에서 강의를 해주셨던 이광연 앵커님이 오신다. 서로 안부를 묻고 간단한 담소를 나눈 후, 오늘 일정에 관해 설명해주셨다. 승강기를 탔다. 널찍하고 세련된 디자인이 눈에 들어온다. 같이 오신 위원님도 그렇게 생각하셨는지 사.. 2016. 7. 26. 이전 1 ··· 220 221 222 223 224 225 226 ··· 2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