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사무국, 운영위원 소식141 [이슈메이커] 한글문화연대 정재환 공동대표, 우리말 지킴이로 대중과 소통 * 12월 5일 이슈메이커에서 기사 더 보기 2016. 12. 15. 우리말글 강연 활동/정재환 공동 대표 ● 정재환 공동대표 특강 ▷ 강연 주제 : 쉽고 바른 공공언어 쓰기 - 공공언어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쉽고 바른 공공 언어의 중요성 ▷ 대상 : 세종청사 직원 ▷ 때 : 2016년 12월 12일 세종청사 대강당 * 기사 보기 2016년 12월 13일 연합뉴스, 서울신문 2016. 12. 15. [글쓰기신문]누구나 쉽게 쓰는 한글, 한글운동의 출발이자 목표입니다/2016년10월 * 글쓰기 공동체를 위한 신문 누리집: http://www.barunmal.com 발행: 국어단체연합 국어문화원 전화: 02-735-0991 2016. 10. 18. [이웃집 소식]다도/전통 다례 수업 [대한명인: 다도/전통 다례] 강경순 원장님의 40년 차와의 인연 아름다운 가을, 다도, 다례 문화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소개합니다. 우리나라 양반가의 문화였다는 다도, 다례에는 양반들의 학덕을 갖춘 인격과 상대를 배려하는 예절, 우아함이 담겨있는 기품있는 우리 문화입니다. 이 행사는 우리 단체 최현주 운영위원이 소개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6dt9PxtIbM 10월 다도 수업 정보 : □ 배우는 곳 : 은평구 진관사 함월당 □ 다도 수업 문의 : 02-359-8410 / 02-359-2055 □ 수업료 : 3개월 수업료(1회당 2시간수업/ 총 12회 매주 목요일 오전 10~12시)도 15만원 □ 시작일 : 10월 6일 오전 10시 첫 수업 시작 한국 전통다.. 2016. 9. 29. 우리말글 강연 활동 ● 이건범 대표 특강 ▷ 강연 주제 : 효율과 인권을 추구하는 국어 소통의 길 ▷ 대상 : 한국교통대학교 학생 대상 ▷ 때 : 2016년 9월 8일 한국교통대학교 강당 2016. 9. 22. 우리말글 강연 활동 ● 이건범 대표 특강 ▷ 강연 주제 : 언어와 글자 속의 인권 ▷ 대상 : 안양 부흥고등학교 학생 대상 ▷ 때 : 2016년 9월 6일 2층 대수실 2016. 9. 7. 한글학회 108돌 생일 잔치 2016년 8월 31일(수) 4시에 서울 광화문 한글학회 얼말글 교육관에서 창립 108돌 기념 잔치가 열렸다. 인마말에 나선 권재일 회장은 얼말글 교육관을 가득 메운 80여 명의 축하 손님 앞에서 "우리 말글을 위해 목숨까지 바친 조선어학회 선배들의 정신을 이어가겠다"고 다짐했다. 이날 한글학회는 그동안 한글학회의 발전과 우리 말글 운동에 힘써 오신 한글문화원 송현 원장, 국어문화운동실천협의회 이대로 회장께 감사패를 전달했다. 또한, 겨레말큰사전편찬사업회 조재수 상임이사가 "한글학회와 사전편찬"이라는 내용으로 특강을 했다. 이 뜻깊은 기념잔치에 우리 단체에서는 이건범 대표와 정인환 운영위원이 참석했다. 한글학회는 1908년 주시경 선생님 등이 만든 '국어연구학회'로 시작해 1921년 '조선어연구회' 이름.. 2016. 8. 31. 제7회 국어책임관 국어문화원 공동연수회 7일부터 8일까지 청주 라마다플라자 호텔에서 전국의 국어책임관과 국어문화원 활동가들 함께 모여 우리말과 한글을 빛낼 방안을 찾는 공동연수회가 열렸다. 우리 단체는 서울 지역의 국어문화원 자격으로 이건범 대표(원장), 김명진, 정인환 운영위원, 이현옥 간사가 공동연수회에 참석했다. 연수회는 이정미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정책과 과장, 강병구 국립국어원 기획연수부장, 이진규 충청북도 문화국장의 인사로 1박 2일의 일정이 시작됐다. 이정미 과장은 "지난 5월 12일 헌법재판소에서 한자 좋아하는 분들이 국어기본법이 위헌이라며 낸 소송에 대한 공개변론이 있었다. 우리말과 한글이 처한 처지를 말해준다. 여러 국어책임관과 국어문화원이 힘을 합쳐 국어의 위상을 높여달라."고 강조했다. 지난 한해 동안 기관에서 국어 발전을 .. 2016. 7. 7. [한글새소식-526]낱말의 의미는 문자가 아니라 체험에서 얻는다. ■ 낱말의 의미는 문자가 아니라 체험에서 얻는다. 한자 문제에는 두 가지 논쟁점이 있다. 하나는, ‘한자말 뜻을 익히는 데에 한자 지식이 반드시 필요한가?’하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한자로 표기하지 않으면 한자말의 뜻을 제대로 알 수 없는가?’하는 점이다. 두 문제는 ‘교육’과 ‘표기’라는 다른 영역에 속하지만, 사실은 ‘낱말의 뜻을 사람이 어떻게 알아채는가?’라는 하나의 문제에서 비롯한다. 새로운 낱말을 이해하는 단계에서 한자 지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은 교육의 문제이고, 낱말을 눈으로 지각하고 식별하는 단계에서 한자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표기의 문제다. 하지만 한자말의 이해와 식별에서 한자가 차지하는 역할은 기대만큼 크지 않다. 먼저, 교육의 문제를 짚어보자. 한자말의 의미는 대개 구성 한자의 .. 2016. 6. 13. 이전 1 ··· 12 13 14 15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