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 부산시교육청이 함께 '부산 영어상용도시' 추진을 본격화하자 전국을 비롯한 부산지역 시민사회단체가 정책 철회를 촉구하는 활동에 나섰다. 이들 단체들은 예산 및 행정력 낭비와 부산시민들에서 상처만 안겨 줄 정책은 바로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형준 부산시장과 하윤수 부산시교육감은 2030년 세계 박람회를 앞두고 부산영어상용정책을 내놨다. 시민들과 공무원들이 부산에 온 외국인과 영어로 자유롭게 소통하면서 외국인들이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중략)
부산영어상용도시? 현실은 '부산 영어남용도시'
19일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는 “부산은 현재도 시설이나 지역 이름 중 영어 이름이 엄청나다. 지자체 중에서도 독보적이다. 이것이 더 강화되는 현상이 나타날 것이다.”라며 “이는 많은 시민의 안전과 의사소통, 그리고 공적 정보를 얻는데도 상당한 어려움을 끼칠 것이고 결국 ‘영어남용정책’이 될 것이다”라고 내다봤다. 더불어 “2030세계 박람회를 겨냥한 거라면 인력을 따로 뽑아서 훈련을 시키면 될 일이지 부산시민들에게 요구할 사항은 아니라며 외국인들이 보고 싶은 것은 가장 한국적인 문화다.”라고 강조하며 “예산은 예산대로 낭비하고 성과는 못 거두면서 그 피해는 모든 사람에게 돌아가는 정책이다.”라며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부산영어상용반대 국민연합(110여개 단체)은 오는 10월 6일, 부산시청 앞에서 대규모 규탄 집회를 열 예정이다. 국민연합은 '부산영어상용도시 정책반대 전 국민서명운동'을 진행 중이다. 서명 결과는 규탄 집회 당일 시민 여론조사와 함께 발표될 예정이다. 해당 정책은 부산시민들과 전 국민의 반대여론 속에서 '영어남용정책'이라는 비판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출처:https://news.eduhope.net/24544
본 기사는 교육희망(2022.09.20)에서 작성되었습니다.
'활동 > 언론에 나온 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신문][우리말이 우리의 미래] 추석 때 많이 쓰는 ‘밀키트’, ‘기프티콘’ 이렇게 바꿔요 - 2022.09.09 (0) | 2022.10.05 |
---|---|
[MBN뉴스] [포커스M] 가드닝·핫플·파캉스?…법 어겨가며 외국어 남발하는 서울시 - 2022.09.21 (0) | 2022.09.22 |
[경기신문] [우리말이 우리의 미래] '추석 스미싱 피해 주의'하라는데... 정작 '스미싱' 의미 몰라 - 2022.09.08 (0) | 2022.09.08 |
[부산 KBS] '공공언어' 훼손 .. 부산이 가장 심각 - 2022.09.01 (0) | 2022.09.08 |
[더 팩트] 하윤수 부산교육감, 잘 하고 있나...현 주소는 '글쎄' - 2022.09.01 (0) | 2022.09.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