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을 영어 상용도시로 조성하기 위한 준비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부산시는 최근 영어상용화추진 전담팀을 구성한 데 이어 부산시교육청 관련 부서와 협의해 전문가 지원단을 구성할 계획이라고 29일 밝혔다.
(중략)
그러면서 공문서 영어 서비스는 투자유치과, 외교통상과 등 해외 관련 부서의 한글 공문서 가운데 번역이 필요한 공문서에만 적용한다고 설명했다.
한글문화연대는 이날 오후 부산시청 앞에서 지역 34개 시민단체 및 76개 국어단체와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영어 상용도시 정책 철회를 촉구할 예정이다.
이 단체는 "억지로 영어 사용 환경을 조성해 영어 능력을 키우겠다는 발상은 시민에게 불편과 짜증을 안길 뿐"이라며 "영어 상용도시 정책은 영어 남용도시 정책으로 귀결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20829073000051?input=1179m
본 기사는 연합뉴스(2022.08.29)에서 작성되었습니다.
'활동 > 언론에 나온 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팩트] 하윤수 부산교육감, 잘 하고 있나...현 주소는 '글쎄' - 2022.09.01 (0) | 2022.09.08 |
---|---|
[문화일보] 부산 '영어 상용도시'추진에... 국어단체 "실패한 '영어마을' 재판" - 2022.08.29 (0) | 2022.09.08 |
[경향신문] 영어상용도시 부산' 정책에 국어단체·부산시민단체 반발 - 2022.08.29 (0) | 2022.09.08 |
[여성신문][우리말다듬기⑰]'디지털 네이티브' 대신 '디지털 태생' - 2022.08.26 (0) | 2022.09.08 |
[경향신문] 외국어 '상용', 되풀이되는 악몽 - 2022.08.30 (0) | 2022.08.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