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5돌 한글날을 앞둔 지난 1일 가톨릭청년회관 바실리오홀에서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와 사단법인 토박이말바라기(으뜸빛 강병환)가 함께 준비한 한글문화 토론회가 열렸다. 포스터나 플래카드에 흔히 적히는 ‘주최’ 대신 ‘마련’, ‘후원’ 대신 ‘도움’이라고 한 표기부터 흥미롭다. 이 행사를 ‘도운’ 곳은 문화체육관광부·(사)국어문화원연합회등이다.
주제가 ‘토박이말 살리는 수 찾기’다. 이날 행사에는 우리말 쓰기를 교단에서 실천하고 있는 선생님들이 나와 과목별 토박이말 사용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는 “학술용어는 우리말로 ‘갈말’이라고 한다”며 “국가 교육과정에서 ‘토박이말’을 어릴 때부터 넉넉하게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는 길이 마련됐으면 좋겠다”고 행사 기획 의도를 밝혔다. ‘갈’은 배움·연구·공부라는 뜻이다.
출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13501#home
본 기사는 중앙선데이(2021.10.09)에서 작성된 기사입니다.
'활동 > 언론에 나온 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1] '외국어 남용' 무인단말기 메뉴…쉬운 우리말로 바꿉시다" - 2021.10.09 (0) | 2021.10.14 |
---|---|
[뉴스1] MaaS, PM, C-ITS, PLS 뜻 아십니까…난수표 같은 행정용어 - 2021.10.09 (0) | 2021.10.14 |
[뉴스포스트] [575돌 한글날] 일제치하에도 지켜온 가갸날, 21년도에는 ‘홀대’ - 2021.10.08 (0) | 2021.10.14 |
[한국경제] "식당 왔더니 메뉴판에 영어만" 당혹…세종대왕님 노하실라 - 2021.10.08 (0) | 2021.10.14 |
[울산매일신문] [한글날 기획] `한글문화 중심도시 울산'으로 나아가려면?“우리말부터 제대로 쓰고 시민체험 사업 펼쳐야” - 2021.10.07 (0) | 2021.10.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