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656 2018년 2월 8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
|
◆ [알림] 국민 청원, ‘알기 쉬운 헌법’ 만들어 주세요~ |
헌법을 알기 쉽고 우리말답게 바꾸어 주십시오.
저는 <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 국민운동본부>의 공동대표인 한글문화연대 이건범입니다. 우리 국민운동본부는 한글학회와 한글문화연대 등 국어단체, 흥사단과 한국와이엠시에이(YMCA)전국연맹 등 시민단체,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등 교육학부모단체를 비롯한 41개 단체가 모여 2018년 1월 17일에 출범하였습니다.
헌법은 대한민국 국민의 삶을 뿌리에서 좌우합니다. 따라서 국민의 행복 추구권과 알 권리, 평등권을 보장하기 위해 헌법은 우리 국민이라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알기 쉬워야 하며,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과 민족문화의 창달에 애써야 하는 국가의 의무에 비추어 우리말답게 써야 합니다. 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 국민운동은 바로 이와 같은 헌법 정신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한글문화연대와 한글학회 등 한글단체, 흥사단 등 시민단체, 전교조 등 교육단체가 모여 "헌법을 알기 쉽고 우리말답게 바꿔 달라"는 내용으로 청와대에 국민 청원을 넣었습니다. 청원에 동의해서 뜻을 모아주십시오. 그리고 주변에 널리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청원에 참여하는 방법] 1. 아래 <알기 쉬운 헌법 만들어 주세요> 국민 청원 들어간다 2. 글을 읽고 밑에 '동의'라는 칸을 눌러 3. 누리소통망(카카오톡, 페이스북, 네이버 등) 계정으로 인증 후 4. 한마디 쓰고 '동의'를 누른다.
▶ <알기 쉬운 헌법 만들어 주세요>청원하러 가기>> | |
◆ [마침] 개헌 정책 토론회-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의 목적과 방법 /2018년 2월 7일(수) |
국회의원회관 제1간담회실에서 2월 7일(수) 2시부터 <개헌 정책 토론회> 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의 목적과 방법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권재일(알기 쉬운 헌법 국민운동본부 공동대표, 한글학회 회장), 류종열(알기 쉬운 헌법 국민운동본부 공동대표, 흥사단 이사장)공동대표의 여는 말과 원혜영, 강길부, 노회찬 의원의 인사말이 있었습니다.
리의도 춘천교대 명예교수가 '헌법의 낱말과 문장을 이렇게 다듬자'라는 주제로 발표를 시작하였고 이어 전종익 서울대 법학전문대학교 교수가 '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의 의미와 한계'를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 [토론회 자료집 내려받기]
| |
◆ [우리말 이야기] ‘참고’와 ‘참조’ - 성기지 운영위원 |
사무실에서 공문서를 다룰 때 가끔 “OO 참고”라든가 “OO 참조”라는 용어를 만나게 된다. 이런 용어를 자주 대하다 보면, 한 번쯤은 ‘참고’와 ‘참조’의 차이점에 대해 궁금해지기 마련이다. ‘참고’는 어떤 일에 대해 도움이 될 만한 재료로 삼는다는 뜻이다. “업무에 참고할 것.”, “아래 사항을 참고할 것.” 들처럼 쓰는 용어이다. 이에 비해 ‘참조’는 참고로 비교하고 대조해 본다는 뜻이다. 가령, 어떤 기사를 읽을 때 그와 관련된 다른 기사를 비교해 보라는 뜻으로 “관계 기사 참조”라고 하는 경우에 쓰는 용어이다. 공문에서, 단지 업무에 도움이 될 만한 재료로 삼으라는 뜻으로 쓰는 말이라면, “참조하시기 바랍니다.”가 아니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로 쓰는 것이 옳다.
요즘 같은 때에는 공문서에서 “불경기일수록 업무에 전력할 것”이라는 표현을 자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때의 ‘전력’을 우리말로 옮기면 ‘모든 힘’이고, 어떤 일에 모든 힘을 다하라는 뜻을 표현할 때에는 “전력을 기울이다” 또는 “전력을 쏟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 말을 “전력할 것”이라든지, “전력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처럼 쓸 수는 없다. 만일 ‘하다’를 붙여 써서 표현하고자 할 때에는 “진력하다”, “진력할 것”, “진력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써야 한다.
문서의 분량을 헤아릴 때에나 원고지 분량을 이야기할 때 흔히 ‘한 매’, ‘두 매’ 등으로 말하고 있는데, 이때의 ‘매’는 일본식 한자말이다. 우리는 일제의 영향을 받기 전에는 종이를 ‘한 장’, ‘두 장’, ‘백 장’이라고 헤아렸다. 요즘은 ‘매’와 ‘장’이 뒤섞여 사용되고 있는 듯한데, 되도록 전통적 표현인 ‘장’으로 통일하여 쓰는 것이 좋겠다. | |
◆ [보도자료] 헌법, "알기 쉽고 우리말답게" 국회의원 한목소리 |
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 국민운동본부(공동대표 권재일 외 11명)에서는 2018년 1월 24일부터 2월 1일까지 296명 국회의원에게 헌법을 알기 쉽게 바꾸는 일과 관련해 의견을 물었다.
설문에 응답한 76명 국회의원 모두 개헌할 때 헌법에서 어려운 용어와 일본어투 문장을 쉬운 말로 우리말답게 바꿔야 한다고 대답했다.
헌법의 국한문혼용 표기를 한글 전용으로 바꿔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72.4%(55명)가 그렇다고 답했으며, 그렇지 않다 23.7%(18명), 무응답 3.9%(3명)로 답했다. 더불어민주당은 한글 전용 30명, 국한문혼용 6명, 무응답 1명으로 답했고, 자유한국당은 한글 전용 7명, 국한문혼용 8명, 무응답 2명으로 의견이 나뉘었다. 국민의당 17명 가운데 13명은 한글 전용을, 4명은 국한문혼용을 선택했다.
정의당은 설문에 응한 4명 모두 이번 개헌 과정에서 어려운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것과 한글 전용에 모두 찬성하였다.
국회의원 61.8%(47명)는 헌법에 대한민국의 공용어는 한국어, 공용문자는 한글이라는 규정을 넣어야 한다고 답했다. 21명 (27.6%)은 그렇지 않다고 답했고, 8명(10/5%)은 답을 하지 않았다. 더불어민주당은 그렇다 22명, 그렇지 않다 10명, 무응답 5명, 자유한국당은 그렇다 7명, 그렇지 않다 7명, 무응답 3명으로 나타났다. 국민의당은 17명 중 14명은 그렇다에 3명은 그렇지 않다에 답했고, 정의당은 4명 중 3명은 그렇다에 1명은 그렇지 않다에 응답했다.
=============== 더 보기 =============== | |
◆ [대학생 기자단] 2017년 11월, 12월 기사 |
|
◆ [후원] 한글문화연대 후원 및 회원 가입 안내 |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