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20

신고) 교육부 스톱불링 교육부가 운영하는 학교폭력예방 누리집을 신고합니다!! 학교폭력 예방은 사회적으로 꼭 필요한 일이고 교육부가 마땅히 해야 할 일이다. 그런데 이 정책의 이름이 '스톱불링'이란다. 외국의 '사이버 불링법'(온라인 집단 따돌림)에서 '불링'(따돌림)이라는 말을 그대로 따온 용어이다. 사전을 일부러 찾아보니 영어 단어 bullying이라고 나온다. '스톱불링'은 바우처(복지 이용권), 아웃리치(구호), 그린푸드존(어린이식품안전보호구역), 키즈뱅크(장난감 기증 대여), 푸드뱅크(식품 기부), 여성안심귀가스카우트(서울시), 두드림존(저소득층 아동 지원), 마다세이프(임신 중 위험물질 상담), 희망리본(일자리 마련 재탄생), 리스크, 보이스피싱(전화사기), 셧다운제와 같은 공공언어 병신체다. '스톱불링'이라는 정책 .. 2013. 7. 4.
조선일보) [발언대] 한자 이전에 국어 낱말 교육부터 살피자2013.07.04. [발언대] 漢字 이전에 국어 낱말 교육부터 살피자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7/03/2013070303838.html 문용린 서울시교육감이 초등학교 한자 교육 강화를 들고 나왔다. 문 교육감은 예전부터 한자 혼용에 강하게 동조해왔다. 한글로만 적는 신문과 인터넷에서 아무런 혼란도 겪지 않는 일반인들로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주장이라 걱정이다. 초등학교에서 한자 교육 강화 정책을 펴는 순간 두 가지 결과는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하나는 암기 평가 위주의 공부 부담을 얹어 아이들을 더 지치게 만들고, 다른 하나는 영어 교육 사례에서 보듯 학교에서 한자를 강조하는 순간 사교육이 번성한다는 점이다. 한자 교육 요구는 크게 두 종.. 2013. 7. 4.
경향신문) [문화와 삶]초등학생 좀 그만 괴롭히자2013.07.04 [문화와 삶]초등학생 좀 그만 괴롭히자/ 경향신문.2013.07.04.목 이건범(작가·한글문화연대 대표)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7032144155&code=990100 문용린 서울시교육감이 초등학교 한자 교육 강화를 특색사업으로 벌이겠단다. 처음엔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한자 수업을 강제로 배정하겠다더니 이젠 한발 물러섰다. 재능기부 강사를 모아 방과후에 원하는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교과서에 나오는 한자어 낱말 뜻을 이해시켜줄 목적으로 학교 자율에 맡겨 시행하겠노라고 한다. 이렇게 훌륭한 명분을 내건 사업에 욕을 해대면 나만 나쁜 놈처럼 보이리라. 그런데 사정을 알고 보면 그리 간단하지 않다. 문용린 교육감은 예전부터 .. 2013. 7. 4.
서울시 교육청을 꾸짖다 구호 하나 외치고 글을 시작해야 겠습니다. 서울시 교육청은 초등 한자 교육 강화 계획을 당장 멈춰라!! 7월3일 오전 10시 서대문 강북삼성병원 뒤에 있는 서울시교육청 정문 앞에서 문용린 서울시 교육감의 초등학교 한자 교육 강화 방침을 당장 거두라는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기자회견은 한글문화연대, 학글학회 등의 한글 단체와 뉴라이트 학부모연합,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회 등의 학부모 단체가 함께 열었습니다. 9시 40분. 기자회견 20분을 남겨두고 조금 일찍 서울시 교육청 정문에 도착했습니다. 종로경찰서, 교육청 직원 분이 먼저 나와 저희를 반갑게(?) 맞아주셨습니다. 소리통(앰프)이나 알림막 등의 기자회견 준비물을 차에 싣고 왔기에 주차할 곳을 찾다 교육청 직원분께 물으니 기자회견 하러온 차량은 주차할 수 .. 2013. 7. 4.
[7/3 초등학교 한자 교육 반대 기자회견] 언론보도 모음 오늘 7월 3일 서울시 교육청 앞에서 열었던 기자회견 소식이 실린 기사들입니다. [경향신문] 서울시교육청 한자교육 강화에 한글·학부모단체들 반발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7031047281&code=940401 [민중의 소리] “한자교육 강화 주장, 문용린 교육감 고집일 뿐” 서울교육청, 2학기부터 초등·중학교 한자교육 강화 방침...한글·학부모단체 반발 거세 http://www.vop.co.kr/A00000652055.html [아시아경제] 학부모단체 '한자교육' 반대..한 목소리 http://www.asiae.co.kr/news/view.htm?sec=it99&idxno=2013070307030944629 [뉴스1] .. 2013. 7. 3.
(0)-과학과 진실의 눈으로 살펴봅시다. ** 다음은 이건범 대표의 글로 한겨레 훅에 연재를 하는 내용입니다. ( http://hook.hani.co.kr/archives/50104 ) 우리말에 한자어가 많으니 초·중등 교과서에 나오는 한자어는 한자로 적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초등학생에게도 한자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인다. 이들은 2013년 2월 18일에 몇몇 국회의원을 앞세워 “초·중등교육법 일부 개정안”을 냈다. 개정안은 교과서에 한글과 한자를 함께 사용하자는 방안을 담고 있는바, 한자 혼용으로 가는 디딤돌을 마련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한자어는 반드시 한자로 적어야 그 뜻을 알 수 있다는 이 사람들의 주장은 논리가 궁지에 몰리면 카멜레온처럼 변하므로 찬찬히 짚어보아야 참과 거짓을 가릴 수 있다. 한자는 우리 조상의 .. 2013. 7. 2.
누구나 쉬운 문자로 소통하게 하라 다섯 분야 열다섯 가지 세종 업적 누구나 쉬운 문자로 소통하게 하라 지난 5월 15일 세종대왕 태어나신 날 잔치에서 세종대왕 업적을 기리는 알림판을 만들어 광화문 광장에 1주일 전시하였습니다. 5월 15일이 스승의 날인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만 이 날이 세종대왕께서 태어나신 날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드뭅니다. 세종대왕은 나라를 살찌우고 백성을 아끼려는 마음으로 참 많은 일을 하셨습니다. 지금도 세계 속에 빛나는 우리글, ‘한글’을 만드셨고, 측우기와 물시계, 해시계 등으로 과학 기술을 발전시켰으며, 이를 통해 농업 분야에서 백성들에게 큰 도움을 주셨죠. 이외에도 의료, 복지, 교육 분야에서도 백성을 향한 따뜻한 마음을 보여 주셨습니다. 국민 모두가 알고 있는 위인이지만, 세종대왕의 업적을 물으면 막힘.. 2013. 7. 2.
[한국일보] 외국어 능력 직장인에게 도움 안돼 많은 돈과 시간을 들여 공부한 외국어가 회사 일에 도움이 안 된다는 기사가 났네요. 모두가 영어 공부에 열 올리는 것이 왜 사회적 낭비인지를 잘 말해주는 내용이네요. 한국일보 2013년 7월 2일 기사입니다. 원본 기사 주소 http://news.hankooki.com/lpage/economy/201307/h2013070209223921500.htm 2013. 7. 2.
말글 규범은 왜 필요한가? 아, 그 말이 그렇구나(1) 약속에 늦어 서두를 때 빨간 신호등 앞에서 시간을 끌게 되면, 차라리 ‘신호등이 없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신호등이 없다면? 물론 걷는 이들은 횡단보도조차 마음놓고 건너다닐 수 없게 되지만, 차를 모는 이들도 결코 자유롭지 못할 것이다. 우선 덩치가 큰 차들이 제멋대로 길 위를 누빌 터이고, 다음에 운전 솜씨가 뛰어난 운전자들만이 겨우 제 시간에 맞춰 옮겨 다닐 수 있을 것이다. 마음이 약하고 겁이 많은, 대다수의 작은 차를 탄 운전자들은 자칫하면 길 위에 고립될지도 모른다. 시내 지리에 어두운 다른 지방 사람들이나 외국인들은 아예 차를 몰고 길에 나설 엄두를 못 내리라. 운전자들에게도 사회의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질서와 규범이 필요하다. 그래서 신호등은 필.. 2013.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