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783

한글 아리아리 981 새 창으로 보기한글 아리아리 9812024년 6월 7일   --> 2024년 6월 7일, 우리말 소식 📢1. [알림] 행안부, 부산 에코델타동 이름 승인하지 않아2. [우리말가꿈이 26기] 세종나신날 영상 나왔습니다~3. [정재환의 우리말비타민] - 조우4. 대학생 기자단 10기 기사 - 윤혜린 기자 [알림] 행안부, 부산 에코델타동 이름 승인하지 않아   --> 행안부, 부산 에코델타동 이름 승인하지 않아2024년 6월 3일작성자: 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 5월 31일 행정안전부는 부산시 강서구청에서 신도시의 법정동을 ‘에코델타동’이라고 이름짓겠으니 승인해달라는 신청을 승인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말로 짓는 것이 헌법과 국어기본법의 정신에 맞고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는 길이라는 우리 한글문화연대의 주장.. 2024. 6. 7.
[11기] 10월 9일 한글날, 태극기 달아야 할까? - 유서영 기자 10월 9일 한글날, 태극기 달아야 할까?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1기 유서영  세계 문자 가운데 유일하게 문자를 만든 사람과 글자의 원리까지 밝혀진 문자는 바로 우리나라의 ‘한글’이다. 10월 9일 한글날은 세계적으로도 우수한 문자로 인정받는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지정되었다. 한글은 독창성, 창의성과 우수성뿐만 아니라 옛 조선들의 삶과 정신이 깃들어 있어 후손들에게 더욱 의미가 있다.  훈민정음이 반포된 후 480년이 되던 1926년에 조선연구회가 매년 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로 정해 기념한 것이 시초가 됐다. 당시에는 한국이 일제에 국권을 빼앗기고 억압에 눌려 위축됐던 시기라 민족정신을 되살리고 북돋우기 위해 한글날을 제정했다고 알려졌다. 1928년에 주시경 박사가 ‘.. 2024. 6. 4.
[11기] 세종대왕 말고 누구? - 이지아 기자 세종대왕 말고 누구? 한글문화연대 기자단 11기 이지아 기자jackie1008@naver.com   한글은 과학성과 독창성으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문자 체계이다. '한글'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람은 누구인가? 많은 사람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대왕을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세종대왕 외에는 또 누가 있을까?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한글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에는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 뿐만 아니라 한글의 연구와 보급에 기여한 수많은 인물의 노력이 깃들어있다.  자음과 모음에 이름을 부여하다, '최세진’ 훈민정음이 창제된 당시에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부르는 표준 이름은 존재하지 않았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한글 기본 글자의 이름이 나오지 않은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름이 없던 기본 글자들에 현재 .. 2024. 6. 4.
[11기] ‘소녀가되’ 반복해서 사용하면 바보가 돼! - 하수정 기자 '소녀가되' 반복해서 사용하면 바보가 돼! 한글문화연대 11기 하수정(happydupply@naver.com) 누리소통망 엑스(X)에서 ‘소녀가 되’라는 표현이 유행함에 따라 ‘학생이 되’, ‘새내기가 되’ 등 유행어를 살짝 바꾸어 쓰는 사례가 잇따르 고 있다. 일부 사용자는 올바른 표기를 알면서도 유행에 맞춰 틀린 표기를 사용하지만, 다수의 사용자는 옳은 표기가 무엇인지에 대한 고 민 없이 소셜미디어에 틀린 표기를 마구 사용한다. ‘00가 되’의 사용이 만연해지면서 ‘되’와 ‘돼’를 혼용하는 경우가 빈번해졌다. 이에 서울 교육대학교 김도남 교수는 “특정 텍스트에 반복 노출되면, 텍스트의 진위와 관계없이 텍스트를 진실로 믿고 표상을 형성할 수가 있다”라 고 말하며 틀린 우리말 표기를 반복적으로 접하다 보.. 2024. 6. 4.
[알림] 행안부, 부산 에코델타동 이름 승인하지 않아. 행안부, 부산 에코델타동 이름 승인하지 않아.2024년 6월 3일작성자: 한글문화연대 대표 이건범  5월 31일 행정안전부는 부산시 강서구청에서 신도시의 법정동을 ‘에코델타동’이라고 이름짓겠으니 승인해달라는 신청을 승인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말로 짓는 것이 헌법과 국어기본법의 정신에 맞고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는 길이라는 우리 한글문화연대의 주장을 받아들인 것입니다. 한글문화연대는 작년 12월에 국어단체를 대표하여 반대 의견을 강서구청에 전하고 그 뒤로도 적극적인 반대 운동을 펼쳤습니다. 3월 8일에는 이건범 대표가 국어단체 분들과 함께 부산시청 앞에서 반대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시 담당자에게 반대 의견을 전했습니다. 그밖에 행정안전부와 대통령실에도 반대 의견을 전하였습니다. 또한 수십 명의 회원님이 국.. 2024. 6. 3.
한글 아리아리 980 새 창으로 보기한글 아리아리 9802024년 5월 31일 2024년 5월 31일, 우리말 소식 📢1. [우리말가꿈이 26기] 세종나신날 영상 나왔습니다~2. [우리말나래] - 우리말가꿈이 26기 청취방송 1화3. [정재환의 우리말비타민] - 한나절은 몇 시간인가4. 대학생 기자단 10기 기사 - 안지연 기자 [우리말가꿈이 26기] 세종나신날 시민참여 행사 영상 5월 12일 국립한글박물관 앞에서 진행한 세종나신날 기념 시민참여행사 영상입니다.1편은 행사를 참여한 시민을 위주로2편은 가꿈이들을 위주로 찍은 영상입니다. 1편 보기2편 보기 [우리말나래] 우리말가꿈이 26기 청취방송 1화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가꿈이' 26기에서 가꿈이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우리말나래' 청취방송을 시작했습니다. '우리말.. 2024. 5. 31.
<알기 쉬운 우리말 단어 사전> 우리말가꿈이 26기 알록달록 모둠 우리말가꿈이 26기 '알록달록' 모둠에서 우리말 단어 사전을 준비헀습니다.일상생활에서 직장생활까지 다양한 영역의 우리말 지식을 담았으니 꼭 봐주세요*우리말가꿈이는 한글문화연대에서 주최하는 대외활동 동아리로 한글과 우리말을 가꾸고 홍보하여 더 나은 언어 문화 환경을 만드는 역활을 하고 있습니다. 2024. 5. 30.
[11기] 우리말은 세계여행 중! - 기다인 기자 우리말은 세계여행 중!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1기 기다인 (dain@naver.com) 대한민국의 드라마, 영화 등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통해 전 세계에 퍼지며 인기를 끌고 있다. 덕분에 한국어와 한글에 관심이 쏠 리고 있다. 특히 아카데미 4관왕에 빛난 영화 과 한국의 전통 놀이를 알린 이 많은 관심과 사랑을 얻었다. 이같이 한국인과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높은 호감으로 시작해 한국어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학, 한국학 전공 강좌 가 107개국 1,395개 대학에서 개설하였으며 약 2천 개 국외 기관에서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등록 수강생 수는 약 25만 명에 달 한다.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며 세계 속 한국어 바람이 불고 있음을 알 수 있.. 2024. 5. 30.
[11기] 말뭉치가 만드는 편리한 디지털 언어생활 - 이연주 기자 말뭉치가 만드는 편리한 디지털 언어생활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1기 이연주   바야흐로 디지털 시대. 단어의 의미를 찾을 때도, 외국어를 한국어로 번역할 때도, 이제는 책이 아닌 컴퓨터를 활용한 다. 컴퓨터로 인터넷 사전을 활용해 단어의 의미를 찾고, 파파고, 구글 번역기와 같은 서비스를 활용해 번역한다. 심지 어 음성인식 기능이 있는 인공지능 스피커나 ‘챗봇’, ‘갤럭시’의 ‘빅스비’, ‘아이폰’의 ‘시리’ 같은 인공지능과 대화하기도 한다. 디지털 언어 서비스를 활용할 때 한 번쯤 머릿속에 떠오르는 질문이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어떻게 방대한 언 어 정보를 한 데 담을 수 있었을까? 오늘 소개할 ‘말뭉치’가 이 질문의 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말뭉치는 다양한 분야의 언어 자료를 모아 컴퓨터로 .. 2024.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