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꺼번이 아니어도, 조금씩이라도 바뀌는 모습을 보면 뿌듯합니다.”
박은주 국토교통부 국어책임관(대변인실 사무관)이 2020년 바뀐 수서역의 ‘점자 안내판’을 가리키며 웃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판으로, 이전에는 ‘촉지도(觸指圖)’로 불리던 시설물이다. 전국 기차역 일부에서는 여전히 촉지도로 돼 있다.
국어책임관은 문화체육관광부가 2017년 국어기본법에 따라 정부 부처에 1명씩 지정한다. 한글문화연대 등 지침에 따라 부처의 보도자료가 나가기 전 불필요한 외래어나 어려운 전문용어, 일본식 한자 표현 등을 확인한다.
(중략)
단어를 바꾼다고 일이 끝나는 게 아니다. 예컨대 촉지도를 점자 안내판으로 바꾸려면 스티커를 떼어내고 기존 안내판을 뜯고 교체해야 한다. 키스앤라이드 구역은 이름을 지우고 다시 도색해야 한다. 행정규칙 고시에 이어 상위법령 변경, 나아가 학생들이 사용하는 교과서도 바꾸어야 한다. 박 사무관은 “예산이 많이 필요한 일이고, 이를 다루는 사령탑이 절실하다”면서, 무엇보다 국민들의 관심을 강조했다.
“어려운 전문 용어를 쉽고 바른 우리말로 바꾸는 과정을 국민들이 더 잘 아실 수 있도록 ‘손길’을 더하는 게 국어책임관의 역할입니다. 국민들이 ‘기차 안내표지판이 바뀌었네’, ‘안내방송이 달라졌네’ 하시면서 ‘눈길’을 주신다면 우리의 언어 환경도 더 좋아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출처: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1128500123&wlog_tag3=daum
본 기사는 서울신문(2022.11.28)에서 작성되었습니다.
'활동 > 언론에 나온 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신문] 우리말 약칭 만들기 학술대회 - 2022.12.01 (0) | 2022.12.13 |
---|---|
[에듀프레스] 교사 정치시민권 보장 156인 선언.. 전현직교육감 등 참여 - 2022.11.28 (0) | 2022.11.30 |
[오마이뉴스] '영어상용도시 부산' 이름 바꿨지만..."꼼수" 비판 - 2022.11.28 (0) | 2022.11.30 |
[경기일보] [현장, 그곳&] 선 넘은 외국어 표기... '노인 배제 문화' 부채질 - 2022.11.27 (0) | 2022.11.28 |
[동아사이언스] [의과학용어의 조건]⑫ 트라우마→감정상처...전문가 선정 바꿔야할 과학·의학 용어 - 2022.11.27 (0) | 2022.1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