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가 무리한 추진을 이유로 박형준 부산시장과 하윤수 부산시교육감의 영어상용도시 협약에 제동을 걸었다.
부산시, 먼저 협약 맺고 사후 동의 절차 논란
지난달 29일과 이달 4일 부산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는 '글로벌 영어상용도시 및 영어교육도시 부산 추진을 위한 부산시-부산교육청 업무협약 동의안'에 대한 검토에 나섰다. 지난 8월 시와 교육청이 인프라 구축 등을 위한 협약을 맺은 지 약 2개월 만이다.
(중략)
박 시장은 지방선거 당시 "영어상용도시 조성을 통해 글로벌 허브도시를 만들겠다"라고 공약했고, 하 교육감도 이에 호응했다. 시와 교육청은 ▲영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권역별 영어교육센터 조성 ▲영어상용화 도시 추진단 등에 합의했다.
국어 관련 단체는 시의회의 심사보류가 "당연한 결과"라고 반응했다.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는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부산시의회가 시민의 의견을 반영해 적절한 판단을 내렸다"라고 말했다.
전국의 100여 개 단체로 꾸려진 부산영어상용반대 국민연합은 오는 6일 부산시청 인근에서 영어상용도시 백지화 시민대회를 열겠다고 예고한 상황이다. 이러한 집회 일정도 전한 이 대표는 "사업 철회까지 계속해서 반대의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전했다.
본 기사는 오마이뉴스(2022.10.04)에서 작성되었습니다.
'활동 > 언론에 나온 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아사이언스] [의과학용어의 조건] ① "용어에는 실마리가 있어야 한다" - 2022.10.05 (0) | 2022.10.13 |
---|---|
[노컷뉴스] 전교조, 학부모 단체 등 '부산영어상용정책' 백지화 요구 - 2022.10.05 (0) | 2022.10.13 |
[경북일보] [박영석의 말과 삶] 넘쳐나는 외래어 위험한 우리말 - 2022.10.03 (0) | 2022.10.12 |
[오마이뉴스] 전국 100개 단체 "토박이말, 국가 교육과정에 꼭 넣어야" - 2022.10.01 (0) | 2022.10.12 |
[KBS 창원] [여기는 진주] 우리말 단체들 "개정 교육과정에 '토박이말' 포함해야" - 2022.09.29 (0) | 2022.10.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