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를 포함한 전국의 우리말 단체 90여 곳이 교육부를 상대로 외래어나 한자어가 없는 순우리말인 '토박이말'을 교육과정에 포함해 달라고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교육부가 지난달 발표한 올해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에 관련 성취 기준이 빠졌기 때문입니다.
보도에 이형관 기자입니다.
(중략)
이들은 의견 관철을 위해 내일(30일)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성명서 낭독과 함께 공동 기자회견에도 나설 계획입니다.
[이건범/한글문화연대 대표 : "어릴 때부터 토박이말을 가르치는 것은 우리말 뿌리가 어떤 것들인지 알려주는 것이고, 학술 용어로까지 발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어린아이들에게 알려주는 것이고요."]
교육부는 다음 달 7일까지 올해 교육과정 시안과 관련해 공청회 등을 열고, 국가교육과정 개정추진위원회에 의견을 전달할 방침입니다.
출처: https://v.daum.net/v/20220929193836318?f=o
본 기사는 KBS 창원 (2022.09.29)에서 보도되었습니다.
'활동 > 언론에 나온 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일보] [박영석의 말과 삶] 넘쳐나는 외래어 위험한 우리말 - 2022.10.03 (0) | 2022.10.12 |
---|---|
[오마이뉴스] 전국 100개 단체 "토박이말, 국가 교육과정에 꼭 넣어야" - 2022.10.01 (0) | 2022.10.12 |
[경남도민일보] 누구나 이해하도록 다듬은 말 찾는 노력을 - 2022.09.28 (0) | 2022.10.12 |
[KBS뉴스] 시민 40% "영어 상용 반대" ···시의회 '졸속 추진' - 2022.10.06 (0) | 2022.10.07 |
[국민일보]"부산 '영어 상용도시' 반대...한글 의미 되새겨야" - 2022.10.06 (0) | 2022.10.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