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추진하는 '영어상용도시' 사업이 시작도 하기 전부터 삐걱대는 모양새입니다.
부산 시민 40%가 이 사업에 반대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온 데다, 시의회도 정당성이 떨어진다며 제동을 걸었습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일상에서 영어 사용을 늘려 도시 수준을 높이자는 취지로 추진되는 '영어상용도시' 조성 사업.
부산 시민들은 이 사업을 어떻게 생각할까.
한글 관련 단체들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해 시민 5백 명에게 물었습니다.
실크 사업 추진을 놓고 찬반을 묻는 질문에 41%가 '반대', 28%가 '찬성'한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공공 부문의 문서와 정책 이름에 영어가 쓰이면 불편하다는 응답 65%, 공공시설이나 표지판에 있는 영어가 불편하다는 답 58%로, 시민 상당 수가 알 권리 침해를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건범/한글문화연대 대표 : "부산시에서 그동안 내세웠던 '영어상용도시'라는 구호도 그렇지만, 각각의 정책이 사실 부산 시민의 생각과 너무나 거리가 먼 정책이었다는 것이 여실히 드러난 것 같습니다."]
절차를 지키지 않은 것도 사업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후략)
출처: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72938&ref=A
KBS 뉴스 7(2022.10.06)에 보도되었습니다.
'활동 > 언론에 나온 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S 창원] [여기는 진주] 우리말 단체들 "개정 교육과정에 '토박이말' 포함해야" - 2022.09.29 (0) | 2022.10.12 |
---|---|
[경남도민일보] 누구나 이해하도록 다듬은 말 찾는 노력을 - 2022.09.28 (0) | 2022.10.12 |
[국민일보]"부산 '영어 상용도시' 반대...한글 의미 되새겨야" - 2022.10.06 (0) | 2022.10.07 |
[중기이코노미] 발코니 알파룸 팬트리…우리말로 바꾸면 어떨까 - 2022.09.22 (0) | 2022.10.05 |
[케이에스피뉴스] 의령군 의병박물관, 방송인 출신 역사학자 정재환 초청 강연 - 2022.09.21 (0) | 2022.10.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