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략)
그래서 한글문화연대의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plainkorean.kr)을 애용하고 있다.
누리집은 어려운 외국어를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서 알려준다.
예를 들면 최근 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해 자주 쓰이는 '부스터 샷' 단어를 넣어 검색하면 '추가 접종'이라고 알려주는 식이다. 랜드마크를 검색하면 마루지, 상징물, 상징 건물, 대표 건물 등으로 바꿔 쓸 수 있다고 나온다.
또 주기적으로 외국어·외래어를 우리말로 바꿔 소개하고 있다. 비치코밍→해변 정화, 홈코노미→ 재택 경제활동, 백브리핑→ 덧보고 등이 그 예다.
이에 그치지 않고 '바꿔주세요' 난에서는 더 알맞은 우리말 제안도 받고 있다.
보도자료를 제공하는 공공기관·기업 등도 이 누리집을 참고하면 좋겠다. 공문서를 알기 쉬운 용어·문장으로, 어문규범에 맞춰 한글로 쓰는 방법도 소개하고 있다.
참고로 지난 7월 기준 정부 기관이 보도자료에서 외국어를 한 번이라도 쓴 비율은 49%, 지방자치단체는 59.1%에 달한다.
출처: 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770751
본 기사는 경남도민일보(2021.08.25)에서 작성된 기사입니다.
'활동 > 언론에 나온 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아사이언스] 동아사이언스 기사 '감염병 시대 우리말'에 함께합니다. (0) | 2021.09.07 |
---|---|
[동아사이언스] [전문용어 시대의 우리말](하)우리말 전문용어 사용, 영한사전 교과서부터 시작하자 - 2021.08.25 (0) | 2021.09.07 |
[이데일리] [우리말, 생활속으로]⑦섬네일 대신 '맛보기 그림'은 어때요? - 2021.08.24 (0) | 2021.08.25 |
[동아사이언스] [전문용어 시대의 우리말](상)어려운 말 고집하는 전문가들 - 2021.08.23 (0) | 2021.08.25 |
[뉴시스] "외국어 남용, 불편했나요?"…한글문화연대 수기·영상 공모 - 2021.08.19 (0) | 2021.08.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