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 한글문화연대가 함께 <쉬운 우리말 쓰기 운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운동 중 하나의 활동으로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새말모임'을 꾸려 외국어 신조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고 있습니다. 2019년 10월부터 만든 새말 가운데 10개를 소개합니다.
대상어(원어) | 다듬은 말 | 의미 |
소셜 디자이너 (social designer) | 공동체 (혁신) 활동가 | 인권 보호와 사회 개혁에 앞장서서 사회를 바꾸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 |
딥페이크 (deepfake) | (인공지능 기반) 첨단 조작 기술 | 인공 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사진이나 영상에 다른 이미지를 중첩·결합해 가공의 새 이미지나 영상을 만들어내는 기술. ※ ‘딥페이크(deepfake)’는 인공 지능 심층 학습을 뜻하는 ‘디프 러닝(deep learning)’과 ‘가짜’를 뜻하는 ‘페이크(fake)’의 합성어. |
게이트키퍼 (gate keeper) | *자살예방 관련 생명 지킴이 | 자살 위험성이 높은 고위험군 대상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전문기관의 상담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중간에서 연결해 주거나, 자살 위기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한 대응으로 자살 시도를 방지하는 등,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리ㆍ지원을 담당하는 사람. |
쇼트리스트 (short list) | 최종 후보 명단 | 최종 선발이나 채용, 입찰, 수상, 인수 등을 앞두고 발표하는 최종 후보자 명단을 이르는 말. 또는 1차 후보자 명단(롱 리스트, long list)에서 더 압축된 명단을 가리키기도 한다. |
앰비슈머 (ambisumer) | 가치 소비자 | 가치관의 우선순위에 있는 것에는 소비를 아끼지 않는 대신 우선순위에 없는 것에는 소비를 아끼는 사람들 혹은 그러한 소비 형태. |
필리버스터 (filibuster) | 합법적 의사진행 저지, 무제한 토론 | 의회 안에서 합법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의사 진행을 고의로 저지하는 행위. 장시간에 걸친 연설이나 출석 거부, 동의안이나 수정안의 연속 제의, 형식적인 절차의 철저한 이행 따위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
제로웨이스트 (zero waste) | 쓰레기 없애기 | 일상생활에서 책임 있는 생산, 소비, 재사용 및 회수를 통해 모든 자원을 보존하고 어떤 쓰레기도 소각‧매립되거나 바다에 버려지지 않도록 하는 것. 불필요한 자원을 소비하지 않고 쓰레기를 최소화하여 폐기물 자체를 생산하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환경 운동이다. |
액티브 시니어 (active senior) | 활동적 장년 | 뛰어난 체력과 경제력을 갖추고 있어 퇴직 후에도 사회적으로 왕성한 문화 활동과 소비 활동을 하는 장년층. |
그래픽 노블 (graphic novel) | 만화형 소설 | 문학적 구성과 특성을 지닌 작가주의 만화. |
킹메이커 (kingmaker) | 대권 인도자, 핵심 조력자 | 다른 사람을 대통령, 총리 등과 같은 지도자로 집권시킬 수 있는 정치적인 능력과 영향력을 가진 사람. |
'활동 > 쉬운 우리말 쓰기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어 신조어 대신 쓸 새말 8 (0) | 2020.06.12 |
---|---|
외국어 신조어 대신 쓸 새말 7 (3) | 2020.05.21 |
외국어 신조어 대신 쓸 새말 5 (0) | 2020.04.29 |
외국어 신조어 대신 쓸 새말 4 (0) | 2020.04.22 |
외국어 신조어 대신 쓸 새말 3 (0) | 2020.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