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아리아리

한글 아리아리 660

by 한글문화연대 2018. 3. 20.

한글문화연대 소식지 660
2018년 3월 15일
발행인 :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상임대표)

한글문화연대 바로가기

[알림]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5기 모집(~3/26)


▶ 자세한 내용은 ★
한글문화연대 누리집★에서 확인해 주세요.

◆ [우리말 이야기] 금새, 장금, 뜬금, 에누리 - 성기지 운영위원

흔히 ‘시세’나 ‘시가’라고 하면 ‘일정한 시기의 물건값’을 말한다. “요즘 시세가 좋다.”고 하면, 요즘의 물건값이 좋다는 뜻이 되겠다. 그런데 시장을 보러간 주부들이 두부나 달걀을 사면서 “요즘 식료품 시세가 많이 올랐네.”라고 말하지는 않는다. 두부 값이나 달걀 값을 말할 때에는 시세 대신에 우리말 ‘금새’를 사용하면 된다. ‘금새’는 물건의 값을 말하기도 하고, 또는 물건값의 비싸고 싼 정도를 뜻하기도 하는 순 우리말이다. 그리고 시장에서 물건을 팔고 사는 금새를 ‘장금’이라고 한다. 채소나 고기 값이 많이 오른 것 같으면 소비자 입장에서 “오늘은 장금이 좋지 않구나.” 하고 말할 수 있다.

장금과는 반대되는 말 가운데 ‘뜬금’이란 것이 있다. 뜬금의 ‘뜬’은 ‘뜨다’의 관형형이고, ‘금’은 돈을 말한다. 곧 ‘떠있는 돈’을 뜻하는 말이다. 그러니까 뜬금이란 제자리에 묶여 있지 않고 제 마음대로 올랐다 내렸다 하는 물건값을 말하는데, 한자말로 바꾸면 ‘변동가’라고 할 수 있다.

할인점이나 옷가게에 가보면 ‘바겐세일’이니, ‘디스카운트’니 하는 문구들을 걸어놓은 모습들을 흔히 볼 수 있다. 본디 우리말에서는 물건값을 정가보다 낮추는 것을 ‘에누리’라고 한다. 이 말은 ‘에이다’에서 나왔다고 하는데, ‘에이다’는 베어 낸다, 잘라 낸다는 뜻이다. “살을 에이는 듯한 추위”라고 하면, 마치 살이 베어져 나가는 것처럼 혹독한 추위를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에누리’는 말 그대로 물건값의 일부를 베어 낸다는 뜻을 담고 있다. 디스카운트, 바겐세일의 물결을 헤치고 에누리가 본디의 자리를 찾기 바란다.

◆ 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 국민운동본부 설문 조사 그 결과는?


1. '헌법, 국어점수는 몇 점' 설문 조사 진행, 그 결과는?
<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 국민운동본부>는 지난 3월 5일부터 11일까지 성인 467명과 중학생 426명을 상대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성인은 온라인 페이스북으로 조사를 했고, 중학생은 국민운동본부 가입 단체인 전국국어교사모임 박상규, 전국사회교사모임 이수영 선생님 도움을 받아 학교 등 설문을 마쳤습니다.

설문 조사 현재 헌법의 국어 점수는 10점 만점에 4.5점에 불과했고, 이러한 결과를 서울신문에 보냈습니다. 이 내용은 3월 13일, 서울신문 단독으로 보도가 되었습니다. 관련 내용은 아래 주소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서울신문, [단독] 개헌 논란 속 ‘헌법 문장 점수’ 10점 만점에 4.5점  

2. 문재인 대통령, 헌법을 쉬운 우리말로 고치는 작업 필요
3월 14일 국무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헌법을 쉬운 우리말로 고치는 작업은 하지 않고 있나?"라는 말을 언급하였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립니다. 관련 내용 기사입니다.

* 조선일보, 헌법 속 한자어/일본식 용어...쉬운 말로 바뀌나

3. 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 거리 홍보 활동
<알기 쉬운 헌법 만들기 국민운동본부>는 알기 쉬운 헌법 개정안을 앞두고 거리 홍보 계획을 세웠습니다. 3월 16일(금), 3월 19일(월) 점심 시간을 이용하여 지하철 광화문역 앞에서 거리 홍보를 할 예정입니다.

[알림]우리말 가꿈이 14기 모집(~3/18(일))

아름다운 우리말과 글을 지키고 가꾸는 수호천사!
우리말 가꿈이 14기를 모집합니다.


우리말 가꿈이는 미래세대를 보호하기 위한 사회공헌 활동으로, 우리말과 한글을 지키고 가꾸는 활동을 통해 우리의 정체성을 지키고 문화를 보전하며, 약자와 소수자를 배려하는 언어문화 환경을 만들어 가는 일을 합니다.

<모집 대상>
우리말과 한글을 사랑하고, 한글에 대한 애정 가득한 대학(원)생이라면 누구나!

<활동 기간>
2018년 3월 31일 - 7월 중순 (약 4개월)

▶ 자세한 내용은 ★
우리말 가꿈이 누리소통망★에서 확인해 주세요. 

◆ [대학생기자단] 2018년 활동 기사

제이티비시(JTBC)를 ‘보고 배우다.’ - 김근희 기자
흔히들 어떤 곳을 다녀오고 나서, 때로는 그 곳을 ‘방문’했다고도 하고 또 때로는 ‘견학’을 다녀왔다고도 말한다. 그렇다면 방문과 견학의 차이는 무엇일까?

지난 2018년 3월 2일, 한글문화연대 4기 기자단은 제이티비시(JTBC)방송국에 ‘견학’을 다녀왔다. 단순히 어떤 장소를 찾아가서 보는 ‘방문’에 그치지 않고 실지로 보고 그 일에 관한 구체적인 지식을 넓히는, 다시 말해,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배우기까지 하는 ‘견학’을 다녀왔다. >> 더보기

책으로서의 의미, 훈민정음 - 이유진 기자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훈민정음”은 다들 알고 있을 것이다. 훈민정음을 시작으로 한글이 탄생했고 우리는 글을 배우고, 읽고, 쓸 수 있게 되었다. 생각과 있었던 일을 글로 표현하고 후대에 남길 수 있고, 지식을 전달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한 일등 공신이라고 할 수 있다. 창제된 지 몇 백 년이 흘렀지만 훈민정음은 여전히 우리의 자랑이자 민족의 얼이다.

이렇게 소중한 훈민정음이지만 과연 사람들은 훈민정음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훈민정음이 단지 문자 자체를 가리키는 말이라고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훈민정음은 문자 외에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바로 책의 이름이다. 이번 기사에서는 책으로서의 《훈민정음》에 대해 소개하려 한다. >> 더보기

패션에 민감한 만큼 용어에도 민감해진다면..- 이연수 기자
사람들이 생활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를 꼽자면 의(옷), 식(음식), 주(집)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민감하게 생각하는 것은 ‘의’가 될 것이다. 다른 누군가에게 ‘내’가 어떤 사람인지를 먼저 내보이는 매체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런 의류 분야에서도 그들끼리 소통하기 위한 전문용어가 존재하는데 요즘은 비전문가인 일반인들에게도 너나 할 것 없이 쓰이고 있는 추세이다. 쉽게 알아듣는 용어가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용어들도 굉장히 많다. 그런 용어를 모른다는 것이 민망한 일이 되거나 전문용어와 일상용어 간의 혼란을 불러일으킨는 경우가 있다. >> 더보기

  다른 기사 둘러보기

◆ [후원] 한글문화연대 후원 및 회원 가입 안내


후원 및 회원 가입 안내

'한글아리아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아리아리 662  (0) 2018.03.30
한글 아리아리 661  (0) 2018.03.23
한글 아리아리 659  (0) 2018.03.09
한글 아리아리 658  (0) 2018.03.02
한글 아리아리 657  (0) 2018.02.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