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대학생기자단

[11기] 국내 거주 외국인만 226만명...“한국어 교육 절실” - 유서영 기자

by 한글문화연대 2024. 10. 16.

국내 거주 외국인만 226만명...“한국어 교육 절실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11기 유서영

seoyoung1104@gmail.com

 

대한민국은 체류 외국인 비중이 전체 인구의 5%를 넘는 다인종 다문화 국가를 눈앞에 두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분석한 '2022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11일 기준, 국내 거주 외국인주민 수는 225248명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의 거주 이유와 형태도 다양하다. 한국에 유학 온 유학생, 결혼이민자, 귀화자, 외국인 근로자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국내 거주 외국인들이 한국에 살면서 불편하다고 느끼는 요소에는 음식, 자녀양육, 외로움 등 다양한 이유가 존재하지만 언어가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이민자 체류 실태 자료조사를 보면, 한국에서 거주하는 외국인 10명 중 4명이 한국생활에서 어려운 사항으로 언어문제를 꼽았다. 외로움을 선택한 비율이 29.8, 경제적 어려움이 20.0, 외국인에 대한 오해 또는 무시가 16.1를 차지한다. 또한, 국내 거주 외국인의 형태를 자세히 살펴보면 50% 이상이 다문화 가정이다. 다문화 가정 아이들의 올바른 한국어 교육은 단순히 소통을 넘어 한국사회 일원으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생활하기 위한 필수 요건 중 하나이다. 이들이 한국 교육과정을 잘 이수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이 꼭 필요하다.

 

현 시점에서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각 기관에서는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을까? 크게 정부와 관련 기관, 국내대학의 한국어 교육 기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기타 교육 기관으로 분리해서 설명할 수 있다. 외교부는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국제협력단을 통해 한국어 연수생 초청 사업을 실행 중이다. 교용노동부와 교육부는 각각 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와 국립국제교육원을 마련해 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을 도와주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공업과 노동을 도와주는 외국인 근로자나 기타 거주민에 대한 한국어 교육 실태는 여전히 개선해야 할 점이 많다. 2020년 국가인권위원회가 발표한 자료를 보면,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어 학습 기간으로는 한 달 미만이 33.3%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으로 없거나 한달 미만 순으로 나타나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한국어 학습이 시급한 상황이다. 한국인 사업주와 외국인 근로자 모두 보다 나은 한국생활을 위해 한국어 교육이 필요하다는 데에 동의하고 있지만, 양쪽 모두 자발적 참여와 실천은 중간 정도로 나타나고 있어서 이들의 적극적 참여를 끌어낼 만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용주는 외국인 근로자를 위해 고용보험을 이용하거나 교육부 측에 한국어 교육 지원을 받고, 세종학당 등 한국어 교육기관에서는 보다 더 적극적이고 재미있는 한국어 교육 정보를 제작해야 한다. 작업장 외에도 그들이 자주 방문하는 장소인 종교기관이나 혹은 이주 노동자 센터에 한국어 교사 육성 과정을 이수한 자원봉사자의 인력을 배치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또한, 고용노동부나 지자체 차원에서 한국어 교육을 활발하게 진행하는 업주 또는 회사에게특별 포상금이나 우수기업 선정 등과 같은 지원을 해준다면 질 좋은 한국어 교육에 기여가 가능하다.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은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 사회에서 삶을 향상시키고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노동 생산성의 향상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세종학당과 같은 교육 기관, 지자체, 고용노동부 등은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끊임없이 관심을 통해, 필요한 제도 및 정책을 바탕으로 교육을 이어나가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