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 표기 없이 ‘페일콘’이라는 단어를 처음 ‘보았을 때’ 어떤 의미로 해석이 되는가. ‘페일’이라면 먼저 ‘pale’, 즉 색이 옅다, 흐리다는 단어가 떠오를 수 있겠다. 그럼 ‘콘’은? 제일 쉽게 연상되는 단어가 ‘corn(옥수수, 알곡)’ 혹은 ‘cone(원뿔)’이 아닐까. 그렇다면 ‘페일콘’은 ‘옅은 색 옥수수’? ‘흐린 색 원뿔’인가? 그것도 아니면 ‘레미콘(ready-mixed concrete)’ 같은 콘크리트의 일종일까?
틀렸다. 요즘 종종 언론 등에 등장하는 페일콘은 다름 아닌 ‘failcon’이다. “창업자와 투자자 등 기업 관계자들이 모여 자신의 실패 경험을 공유하고 실패 요인과 해법 등을 논의하는 자리”라는 뜻으로, 영어 낱말 ‘fail conference’의 줄임말이다.
페일콘은 해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리는 행사의 이름, 즉 일종의 고유명사다. 그것이 마치 보통명사처럼 쓰여 국내 언론에서도 “창업 실패 두렵다는 청년들 ‘페일콘’ 필요해요”(시사저널), “실패담 나눌 ‘한국판 페일콘’ 열자”(한겨레) 등의 모습으로 등장하는 것이다.
하지만 앞서 예를 든 것처럼 영문 표기를 병행하지 않는 한 그 뜻을 다양하게 오해할 수 있다. 특히 ‘f’는 우리 표기법상 ‘p’와 마찬가지로 ‘ㅍ’으로 표기하기 때문에 더더욱 헷갈린다. 이렇게 우리말로 표기했을 때 의미를 알아차리기 모호하고 오해할 우려가 있는 영문 합성어는 우선하여 우리말로 다듬어야 하지 않겠는가.
마땅한 대체어가 없다면 또 모를까, 사실 국내에서도 이미 비슷한 행사가 열리고 있고 우리말 이름도 있다. 행정안전부가 2018년부터 열어 온 ‘실패박람회’가 그것이다. 그렇다면 이미 사용해 온 데다가 정부에서 공인한 이름이자 더 쉬운 말인 ‘실패박람회’를 ‘페일콘’의 대체어로 사용하면 되지 않을까?
이번 새말 모임의 고민은 이 대목에서부터 출발했다. “박람회라고 하면 상당히 규모가 큰 행사를 떠올리게 된다. 더 작은 단위로 모여 실패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까지 아우르려면 새로운 표현을 제시하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의견 때문이었다.
무엇보다 ‘실패’가 주제이자 소재인 모임이다 보니 ‘실패’라는 단어는 빼놓을 수 없고, 그 뒤의 ‘이야기를 함께 나누는 자리’라는 뜻에 맞춘 단어를 고르는 게 관건. 떠오른 후보들은 ‘공유 모임’, ‘공유 담화’, ‘공유 회담’, ‘담론회’, ‘간담회’ 등등이었다. 모두 비슷한 뜻이긴 하나 ‘회담’, ‘담화’ 혹은 ‘간담’ 등은 너무 딱딱하고 격식을 갖춘 모임이라는 느낌이 들었다. 이런 모임은 허심탄회하게 자기 경험을 털어놓고 다른 사람들의 조언을 구하는 자유로운 분위기가 필요한데, 경직된 이름의 틀에 갇혀 버리면 안 될 듯싶었다.
대신 최종 후보로 선택한 다듬은 말은 ‘실패담 나눔터’, ‘실패 공유 모임’, 그리고 ‘실패 담론회’이었다. 자주 느끼는 바이지만, 말을 지을 때 순우리말을 많이 사용하면 그 표현이 훨씬 친근하고 쉽게 다가온다는 느낌이다. 이번에도 ‘~회(會)’, ‘~장(場)’보다 ‘모임’, ‘터’ 같은 우리말이 더 부드럽게 느껴질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나 규모의 모임을 표현하는 데 널리 쓰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새말 모임에서 꼽은 1순위 후보는 ‘실패’ 뒤의 단어를 순우리말로 붙인 ‘실패 나눔터’. 하지만 여론조사 응답자들은 ‘실패 공유 모임’을 가장 적절한 대체어로 뽑았다(75.6%). 다음이 ‘실패담 나눔터’, ‘실패 담론회’의 순이었다.
한편 이번 새말 모임에서는 최종 후보로 선택받지는 못했으나 신선한 표현도 물망에 올랐다. 그 하나가 ‘실패 이야기꽃 마당’. 아하, ‘이야기꽃을 피운다’는 의미였던 것이구나. 고개가 끄덕여졌다. 또 다른 표현은 ‘폭망회’였다. ‘폭망’은 ‘폭싹 망하다’를 줄인 말로, 요즘 젊은이들 사이에 쓰이곤 한다. 재미있는 표현으로 웃음을 자아냈으나 다소 비속어 느낌이 들고 이 역시 순화해야 할 말일 듯해서 제외됐다.
이렇듯 새말 모임에서는 ‘가장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는 한자어’ 외에 다양한 우리말을 새롭게 발굴해 써 보고자 시도하고 있다. 바로 당장 사용하기에는 좀 낯설고 어색한 표현일지라도 이런 창의적이고 과감한 시도 속에 우리말의 쓰임새를 새로 발견하고 더욱 신선한 표현을 건져 올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새말모임 위원들의 꾸준한 노력에 박수를 보낸다.
출처: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719500011
서울신문 [알기 쉬운 우리 새말]에 연재하고 있습니다.
'활동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 쉬운 우리 새말] 네카라쿠배? "정보기술 대기업" (0) | 2022.08.03 |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에듀테크'는 무엇일까? (0) | 2022.07.28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대체 가능'한 말 다듬기 (0) | 2022.07.14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오픈 스페이스'는 '열린 쉼터'로 (0) | 2022.07.06 |
[알기 쉬운 우리 새말]‘엔데믹 블루’는 ‘일상 회복 불안’으로 (0) | 2022.06.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