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말 모임에서는 때로 우리 사회에 아직 완성된 형태로 정착되지 않은 제도, 물건 혹은 용어를 우리말로 다듬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 그 말을 대신할 우리말을 선정하는 과정은 조금 더 어렵다. 앞으로 쓰임새가 넓어지거나 기능 자체가 변화할 수 있어서 지금의 모습이나 용도만을 가지고 말을 결정했다가는 얼마 지나지 않아 어색해지거나 말의 수명이 다해 사라져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플라잉 모빌리티’(flying mobility)를 우리말로 다듬을 때 치열한 ‘설전’이 오간 것도 그 때문이다. ‘플라잉 모빌리티’라는 영어 자체의 뜻만 보면 ‘하늘을 나는 이동 능력’이지만, 요즘 우리 사회에서는 이와 달리 특화된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기존 장거리 교통·운송 수단인 비행기나 헬기와 구분해 ‘주로 서너 명 이하가 타는 에어 택시, 드론 택시, 개인용 비행체’를 가리키는 것이다. 최근 언론 기사에서 “공약에는 ○○시에 플라잉 모빌리티 연구개발단지를 조성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는 등의 용례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런데 에어 택시, 드론 택시, 개인용 비행체의 예를 봐서도 알겠지만, 아직 일반적으로 상용화한 운송이나 교통수단은 아니다. 앞으로 어떤 방식으로 이용될지 짐작은 할 수 있되 쓰임새나 발전의 폭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미지의 영역이다. 그랬기에 새말을 만드는 과정에서 난상토론이 벌어진 것은 피할 수 없는 일이었다.
“앞에 ‘도심’이라는 표현을 넣읍시다. 원래 이런 비행체를 놓고 ‘플라잉 모빌리티’보다 ‘어반 에어 모빌리티’(UAM·Urban Air Mobility), 즉 ‘도심 항공 교통’이라는 표현을 더 많이 씁니다.”
“맞습니다. 도심의 교통 체증을 피하려고 많이 사용하는 만큼 ‘도심’을 넣어도 무방할 것 같은데요.”
“아니요, 앞으로 도심 외에서도 폭넓게 쓰일 수 있기 때문에 ‘도심’을 넣으면 안 돼요. 용어의 뜻이 너무 협소해져 버립니다.”
“하지만 ‘도심’이란 수식어를 빼면 기존 장거리 교통수단과 차별성이 없어져요.”
“그렇다면 ‘지역’이나 ‘근거리’를 넣으면 어떨까요?”
현재의 쓰임새를 충실히 반영해 ‘도심’이란 표현을 넣을 것인가 말 것인가, 넣지 않는다면 다른 어떤 단어가 적합할까…. 이런 고민이 주를 이루었고, 그 외에 이 비행체의 ‘기능’을 표현하는 데에도 조율이 필요했다. 앞서 소개한 ‘도심 항공 교통’은 언론이나 업계에서 상당히 많이 쓰이고 익숙해진 말이지만, 뜻을 ‘교통수단’에 묶어 둔다는 한계가 있다. 지금은 주로 교통의 측면에서 쓰임새가 많이 검토되고 있으나, 앞으로 운송 수단으로 이용될 가능성도 품어야 한다. 이를테면 지상 운송으로는 마땅치 않은 섬 지역에 물건을 배송할 때 드론 등이 널리 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의견을 하나로 모으기가 쉽지 않아 장시간의 토론을 거쳤고 결국 손을 들어가며 ‘근거리 비행 수단’으로 결정하게 됐다. 그리고 이에 덧붙여 ‘근거리 항공 수단’과 ‘근거리 하늘 이동 수단’이라는 말을 후보에 덧붙였다. 새말 모임의 위원들은 ‘도심’이라는 한정된 공간 표기를 넣지 않는 대신 기존 장거리 항공 이동 수단과 차별화하기 위해 ‘근거리’라는 표현을 모든 후보 낱말에 넣었다. 그리고 ‘교통’이라는 한정적 기능 대신 교통과 운송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비행 수단’, ‘이동 수단’이라는 표현을 넣은 것이다.
여론 조사 결과도 새말 위원들이 제시한 우선순위와 일치했다. ‘근거리 비행 수단’의 선호도가 81.9%로 가장 높았다. 이어 ‘근거리 항공 수단’(71.3%), ‘근거리 하늘 이동 수단’(68.4%) 순으로 나타났고, 최종적으로 ‘근거리 비행 수단’이 선정됐다.
이렇게 신중에 신중을 더해 말을 다듬는 것은 ‘말의 생명력’이 가진 끈질김 때문이다. 이를테면 지금도 우주 비행선(飛行船) 혹은 우주선(宇宙船)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한자어를 보면 ‘우주를 나는 배’라는 뜻이다. 강도 바다도 아닌 우주에 웬 ‘배’인가 싶다. 우주를 ‘배’로 표현한 것은 우주 비행이 ‘꿈에서나 가능했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는 우주를 ‘항해’하는 것은 다른 어떤 교통수단도 아닌 ‘배’로서만 상상할 수 있었던 셈이다. 그래서 공상과학소설에서도 항상 우주로 이동하는 수단은 배로 표현됐다. 그러다 처음으로 지금의 끝이 뾰족하고 원통형인 로켓 형태 비행 수단을 등장시킨 작품이 쥘 베른의 ‘달나라 탐험’(1869년)이었다.
그렇게 서구에서 애초 ‘배’로 상상한 우주 교통수단이 고스란히 우리 언어에도 들어와 지금도 ‘우주선’이라는 표현으로 살아남았으니, 말의 힘이 얼마나 강한지를 짐작할 수 있지 않은가. 그런 말의 힘 때문에 새말 모임에서도 상상 속 우주 비행선이 그랬던 것처럼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 나갈지 모를 차세대 문명 기기의 이름을 새로 붙이는 데 그다지도 고심했던 것이다.
※새말모임은 어려운 외래 새말이 우리 사회에 널리 퍼지기 전에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말로 다듬어 국민에게 제공하기 위해 국어, 언론, 통번역, 문학, 정보통신, 보건 등 여러 분야 사람들로 구성된 위원회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모임을 꾸리고 있다.
출처: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419500092&wlog_tag3=daum
서울신문 [알기 쉬운 우리 새말]에 연재하고 있습니다.
'활동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 쉬운 우리 새말] ‘큐레이션 커머스’는 ‘소비자 맞춤 상거래’로 (0) | 2022.06.02 |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어린 나이에 가족을 돌보는 청년을 뭐라고 할까? (0) | 2022.06.02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미코노미, 자기를 위한 ‘자기 중심 소비’로 (0) | 2022.06.02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알피에이’(RPA)는 ‘업무 처리 자동화’로 (0) | 2022.06.02 |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옷 갈아입고 돌아온 신조어, ‘코워킹 스페이스’ (0) | 2022.06.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