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에 보낸 공문]
1. 질병관리청의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2022년 4월 5일과 12일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정례브리핑과 3월 29일 보도자료 <건강한 대한민국을 위한 소통의 가교가 되다!> 보도자료에 ‘포스트 오미크론’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습니다. ‘포스트’처럼 어려운 외국어를 사용하면 국민이 용어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여 혼란을 느끼고, 새로 변화하는 대응체계 정보에서 소외될 수 있습니다. 또한, ‘포스트 코로나’는 국내에서 코로나가 종식된 이후, 혹은 코로나가 유행하게 된 이후 등 불분명하고 모호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포스트 오미크론’이 중의적인 의미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상황을 정확하게 지칭할 수 있는 우리말 표현을 만들어 써 주십시오.
4. 새로운 코로나19 대응체계가 국민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를 써야 합니다. 모든 국민이 쉽게 알 수 있는 우리말을 사용하면 정책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습니다. ‘포스트’ 대신에 ‘이후’ 등 누구나 바로 알 수 있는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 뜻이 모호했던 ‘위드 코로나’ 대신에 ‘단계적 일상 회복’이라는 말을 지어 불렀듯, ‘포스트 오미크론’ 대신 적합한 우리말로 바꾸어 써 주십시오.
5. 이에 대한 질병관리청의 답변을 2022년 4월 26일까지 주십시오. 고맙습니다. 끝.
[행정안전부에 보낸 공문]
1. 행정안전부의 우리말글 사랑에 고마움을 밝힙니다.
2.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만드는 데 가장 앞장선 시민단체로서 ‘언어는 인권이다’라는 믿음으로 국민의 알 권리를 지키고자 공공기관 및 언론의 쉽고 바른 언어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3. 2022년 4월 8일에 열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서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이 ‘포스트 오미크론’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나 ‘포스트’처럼 어려운 외국어를 사용하면 국민이 용어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여 혼란을 느끼고, 새로 변화하는 대응체계 정보에서 소외될 수 있습니다. 또한, ‘포스트 코로나’는 국내에서 코로나가 종식된 이후, 혹은 코로나가 유행하게 된 이후 등 불분명하고 모호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포스트 오미크론’이 중의적인 의미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상황을 정확하게 지칭할 수 있는 우리말 표현을 만들어 써 주십시오.
4. 새로운 코로나19 대응체계가 국민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를 써야 합니다. 모든 국민이 쉽게 알 수 있는 우리말을 사용하면 정책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습니다. ‘포스트’ 대신에 ‘이후’ 등 누구나 바로 알 수 있는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 뜻이 모호했던 ‘위드 코로나’ 대신에 ‘단계적 일상 회복’이라는 말을 지어 불렀듯, ‘포스트 오미크론’ 대신 적합한 우리말로 바꾸어 써 주십시오.
5. 이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답변을 2022년 4월 26일까지 주십시오. 고맙습니다. 끝.
'활동 > 공공언어 바로잡기 활동(공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문] 홈페이지 등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서울특별시 광진구 2022.01.13 (0) | 2022.04.27 |
---|---|
[공문] ‘메가시티’라는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 - 2022.04.22. 행정안전부 외 4곳 (0) | 2022.04.22 |
[공문/답변] 홈페이지 등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경상북도교육청 2022.02.04 (0) | 2022.04.22 |
[공문] 홈페이지 등 외국어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 주십시오. - 경상북도교육청 2022.01.20 (0) | 2022.04.22 |
[공문] ‘RAT’라는 로마자 대신 쉬운 우리말을 사용해주십시오. - 보건복지부 2022.03.18. (0) | 2022.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