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방/대학생기자단

영화 ‘말모이’로 보는 독립운동 속의 우리말 - 송은혜 기자

by 한글문화연대 2019. 6. 17.

영화 ‘말모이’로 보는 독립운동 속의 우리말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6기 송은혜 기자
song12358@naver.com

 

지난 3월 17일 러시아 모스크바의 영화관 ‘돔키노’에서 주러시아한국문화원의 주최로 네 번째 ‘한국영화의 해’ 선포식이 열렸다. ‘한국영화의 해’의 개막작으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영화 ‘말모이’가 상영되었다.

<말모이>는 일제 강점기 때 조선어학회의 사전 편찬사를 기초로 만든 영화이다. 최초의 우리말 사전 원고로 조선말 큰 사전의 모태가 된 ‘말모이’는 사전을 뜻하는 순우리말이자 극 중에서 사전을 만들기 위해 전국의 우리말을 모으는 비밀작전의 이름이기도 하다.

 

영화는 1940년대 일제강점기에 우리말 사용이 금지된 비극에 굴하지 않고 우리말을 지켜낸 사람들의 이야기가 중심 내용이다. 극 중 인물 까막눈 ‘판수’가 우리말과 글의 소중함을 깨달아가는 과정과, 판수를 생각 없는 전과자로 보던 지식인 정환이 판수와 함께 뜻을 모으는 모습은 계층에 상관없이 우리말을 지키기 위해 화합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화 <말모이>는 판수와 정환, 그리고 조선어학회 회원들에서 시작해 말과 글을 지키는 것이 나라를 지키는 것이라 믿고 일제의 탄압을 피해 ‘말모이’에 동참한 전국의 평범한 모든 사람의 이야기로 확장된다. 우리말을 지키는 것이 곧 나라의 얼을 지키는 것임을 짜임새 있게 영화로 그려냈다.

 

한글학자‘주시경’

 

일제강점기 당시 학교에서 일본어를 가르쳤고, 이름 역시 일본식으로 바꾸어 불러야 했으며 우리말을 사용하면 경찰에게 잡혀갔다. 주시경의 제자들은 ‘조선어 연구회’라는 단체를 만들어 한글을 연구하고 널리 퍼뜨리는 데 앞장섰으며, 한글이 만들어진 것을 기념하는 날인 ‘가갸날’도 만들었다. 조선어 연구회는 ‘조선어학회’로 이름을 바꾸고 <조선말 큰 사전>의 원고를 쓰는가 하면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발표하는 등 더욱더 활발하게 활동했다. 그러자 일본은 이들이 비밀 조직을 만들어 일본을 무너뜨리려고 했다면서 이들을 잡아 가두고 조선어학회도 없애 버렸다. “말과 글을 잃으면 민족도 멸망한다.”는 주시경선생의 말을 결국 일제도 인정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이전에도 독립운동에 관한 여러 영화가  우리에게 많은 감동을 주었다. 하지만 말모이는 ‘암살’, ‘밀정’ 등과 같이 무장투쟁을 중심으로 하는 선각자들의 항일투쟁과는 다르다. 우리말과 글 그리고 우리말 이름을 지키고자 일제에 맞선 독립운동의 새로운 면을 부각했다. 

“자기 나라를 보존하며 자기 나라를 일으키는 길은 나라의 바탕을 굳세게 하는 데 있고, 나라의 바탕을 굳세게 하는 길은 자기 나라의 말과 글을 존중하여 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고 주시경 선생은 말했다. 이 말을 가슴에 새기고 조국의 운명이 풍전등화와 같은 시기에 민족정신을 위해 목숨을 바쳐 우리말을 지켜낸 수많은 사람을 잊지 말아야 한다. 또한 우리말의 소중하게 여기며 올바르게 쓰는 것이 우리가 그들의 희생에 보답하는 길일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