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새소식8

[이웃집 소식] <한글새소식> 통권 600호 발간 기념 산문·만화 공모 통권 600호 발간 기념 산문․만화 공모 한글학회는 1972년 9월, ‘바른말 쓰기’, ‘한글만 쓰기’, ‘글자 생활을 기계로 하기’를 이루기 위하여 월간 을 창간하였습니다. 그동안 어려운 재정 여건에도 불구하고 50년 동안 한 호도 거르지 않고 을 다달이 간행하여 마침내 2022년 8월 5일에 통권 600호를 펴내기에 이르렀습니다. 이제 은 우리말과 한글을 온 누리에 펼치는, 가장 유서 깊은 우리 말글 대중 교양지로 우뚝 서게 되었습니다. 이에, 그 뜻과 기상을 나라 안팎에 더욱 널리 떨치고자 “ 통권 600호 발간 기념 산문․만화 공모” 행사를 개최하니, 우리말과 한글을 사랑하는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랍니다. ■ 공모 대상 중등부(중학생과 고등학생), 대학부 ■ 응모 부문 (1) 산문 -주제:.. 2022. 5. 20.
[한글새소식-546] 안전 위협하는 외래어 남용/정재환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 2018년 2월 한글학회 [한글새소식 546]에 실린 정재환 공동대표의 글을 소개합니다. * 한글학회 가기--->> 2018. 2. 27.
[한글새소식-545]외국어 남용 막으려면 '외래어'규정부터 없애야 한다/이건범 대표 ■ 외국어 남용 막으려면 ‘외래어’ 규정부터 없애야 한다. 한글문화연대 소리방송 “이건범의 그러니까 말이야”에서 2017년에는 ‘외래어 심판소’라는 꼭지를 내보냈다. 외국어 낱말 가운데 ‘외래어’ 자격을 줄 낱말을 고르는 방송이었다. 14회에 걸쳐 낱말 세 개씩 모두 42개를 올려 놓고, 지난 25년 동안 언론에서 얼마나 사용하였으며 짝말이 있다면 그것은 얼마나 쓰였는지 살피면서 방송 진행자 셋이 판가름한 것이다. 심판대에 올린 낱말은 이렇다. 컴퓨터, 인터넷, 이메일, 홈페이지, 네티즌,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모바일, 아이티(IT), 마트, 카트, 포인트, 아나운서, 앵커, 리포터, 리모컨, 에어컨, 히터, 글로벌, 스마트, 디지털, 멘탈, 시스템, 브레이크, 블랙리스트, 가이드라인, 멘토, 게임, .. 2018. 1. 4.
[한글새소식-540]'동시흥분기점'에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나요?/정재환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 2017년 8월 한글학회 [한글새소식 540]에 실린 정재환 공동대표의 글을 소개합니다. * 한글학회 가기--->> 2017. 8. 17.
[한글새소식-533] 열일곱 청년, 한글문화연대 새해 계획 ■ 열일곱 청년, 한글문화연대 새해 계획 이천 년에 태어나 올해 열일곱이 되는 청년에겐 꿈이 있다. 우리말과 한글이 제자리에서 오롯이 빛나는 나날을 만드는 일이다. 한글날을 공휴일로 되찾기, 스크린도어 지하철 안내방송을 안전문으로 바꾸기, 한글이 대한민국 공식문자라는 국어기본법의 정당함을 밝힌 헌재 판결 이끌기 등 숨차게 달려왔다. 하지만 갈 길이 멀다. 청년의 올해 계획을 밝힌다. 가. 언어도 인권이다 공공기관, 방송, 언론처럼 사회 구성원이 두루 얽혀 있는 곳에서 쓰는 언어는 알기 쉽고 분명해야 한다. 외국어나 한자어에 시민들이 차별받지 않고 움츠러들지 않아야 한다. 쉽고 바른 공공언어 문화를 만들고자 우리 단체는 올해 전국 공무원을 상대로 ‘좋은 보도자료 공모전’을 펼친다. 세종 정신 배인 공문서를.. 2017. 1. 12.
[한글새소식-528] 국어소통능력시험, 세상에 없던 나무를 키우다 ■ 국어소통능력시험, 세상에 없던 나무를 키우다 “도대체 시험은 누가 만들었지?”하고 볼멘소리하던 어릴 적 기억이 아직도 남아있다. 그런데 시험을 만들었다. 사람들이 좋아하는 걸 만들어도 시원찮을 판에 다들 피하고 싫어하는 ‘시험’을 새로 만들었다. 한글문화연대에서는 2000년에 창립한 뒤로 언제나 공공언어에 대한 감시를 이어왔다. 2012년부터는 해마다 17개 행정부처의 보도자료를 3천 건 넘게 조사하여 정부의 공공언어 사용 실태를 평가해 왔다. 서울시와 경기도 지방 공무원들이 만들어내는 공문서에서 소통을 가로막는 낱말과 문장을 조사하고 평가하기도 했다. 가끔 교육에도 나선다. 한글문화연대 말고도 이런 일을 맡은 국립국어원이 있고 애쓰는 여러 단체와 학자들이 있지만, 늘 뭔가 아쉬웠다. 새로운 소식과 .. 2016. 8. 11.
우리말글 사랑의 시초, 한글학회를 가다 - 김수인 기자 우리말글 사랑의 시초, 한글학회를 가다 한글문화연대 대학생 기자단 3기 김수인 기자 suin_325@naver.com 조선어학회의 명맥을 이어가며 꾸준히 우리말글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한글학회. 하지만 우리 주변에는 ‘조선어학회’는 알고 있으면서 ‘한글학회’란 이름은 생소하게 느끼는 젊은이들이 적지 않다. 지난 26일 기자는 종로구 한글회관에 있는 한글학회 사무실을 방문했다. 한글학회가 108년 역사를 자랑하는 만큼 이곳은 우리말글이 걸어온 길을 고스란히 품고 있었다. 사무실에 들어서니 벽면을 가득 채운 서랍장과 그 위에 놓인 조선어학회 학자들의 초상화가 눈에 띄었다. 빼곡한 서랍장 안에는 사전 편찬 작업 당시 활용했던 낱말 뜻풀이 자료가 글자 순으로 보관돼 있었다. 연구원의 도움으로 살펴본 단어.. 2016. 8. 1.
[한글새소식-526]낱말의 의미는 문자가 아니라 체험에서 얻는다. ■ 낱말의 의미는 문자가 아니라 체험에서 얻는다. 한자 문제에는 두 가지 논쟁점이 있다. 하나는, ‘한자말 뜻을 익히는 데에 한자 지식이 반드시 필요한가?’하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한자로 표기하지 않으면 한자말의 뜻을 제대로 알 수 없는가?’하는 점이다. 두 문제는 ‘교육’과 ‘표기’라는 다른 영역에 속하지만, 사실은 ‘낱말의 뜻을 사람이 어떻게 알아채는가?’라는 하나의 문제에서 비롯한다. 새로운 낱말을 이해하는 단계에서 한자 지식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은 교육의 문제이고, 낱말을 눈으로 지각하고 식별하는 단계에서 한자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표기의 문제다. 하지만 한자말의 이해와 식별에서 한자가 차지하는 역할은 기대만큼 크지 않다. 먼저, 교육의 문제를 짚어보자. 한자말의 의미는 대개 구성 한자의 .. 2016. 6. 13.